옛날 신문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정답은 시노다 지사쿠(篠田治策) 차관과 이항구 예식과장이다.
두 사람은 조선총독부에서 조선 왕실 관련 사무를 맡아 보던 기관 이왕직(李王職) 소속이었다.
두 사람이 ‘꼴프 노리에 취(醉)했다’고 보도한 1924년 4월 13일자 동아일보 지면. 동아일보 PDF 1924년 4월 13일자 동아일보는 “두 사람이 11일 아침부터 자동차를 몰아 용산 효창원에 이르러 날이 저물도록 ‘꼴프’ 놀이에 정신이 없었다 하니 과연 이것이 그들의 취할 바 가장 온당한 도리이었겠는가”하고 보도했다.
문제가 생긴 건 1924년 4월 10일이었다. 도둑이 종묘에 들어 어보(御寶·의례용 왕실 도장) 다섯 개를 훔쳐 갔다. (참고로 이 어보는 지금까지도 찾지 못한 상태다.)
2015년 미국 시애틀미술관에서 환수했지만 결국 모조품으로 드러난 덕종 어보. 진품이 맞았다면 1924년 잃어버렸던 어보 가운데 하나는 찾을 수 있었다. 문화재청 제공 이왕직이라는 부처가 따로 있었지만 이왕(李王) 순종에게 실질적인 권한은 있던 건 아니었다. 그러니 유물 관리가 이렇게 허술한 게 이상한 일도 아니었다.
동아일보에서 도난 사실을 [단독] 보도하자 (친일파로 유명한) 민영기 이왕직 장관은 “비밀에 부친 일이 신문에 발표돼 참으로 세상에 대해서도 면목이 없다”고 말했다.
대한제국 황제 복장을 한 순종. 동아일보DB 당시 왕실 유물 관리 실무 책임자가 바로 이 과장이었다.
이 과장은 “황송한 말이야 어찌 입을 열어 다 하겟소만은 이왕 당한 일이니 다만 처분을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당시 동아일보 표현대로 500년 만에 처음으로 종묘에서 도난 사건이 벌어졌는데 ‘일개 과장’이 어떻게 차관과 함께 하루 종일 골프를 치고도 이렇게 당당할 수 있던 걸까.
이 과장 아버지 이름을 들으면 의문이 풀릴지 모르겠다. 이 과장 아버지는 리노이에 칸요(李家完用) 그러니까 이완용이었다.
이완용 가족 사진. 앞 줄 가운데가 이완용 그 뒤가 이항구다. 동아일보DB 혹시 잊고 계셨는지 모르겠지만 오늘은 일본에 국권을 빼앗긴 지 110년 되는 날이다.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20-08-29 21:35:50
나라는 멍청하고 무능한 이씨왕조가 뺏기고 치욕은 백성들 몫이라니 한반도는 옛날부터 퍽이나 공정한 나라만 있었구만
2020-08-30 06:49:29
시대에 따라서 욕먹는거 당연한 일이다. 박정희 시대에 북한방송을 들어보면 박정희는 물도 사서 먹는다고 떠들기에 그냥 웃어 넘겼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참 어이없는 일이다. 그 당시 청와대에서 외국산 생수를 사서 먹었는지 모르지만 그 당시로써는 이해 못할 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