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플래시100]의롭고, 용기 있고, 희생적인…이런 지도자 어디 없나요?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12월 5일 11시 40분


코멘트

1923년 5월 11일



플래시백
동아일보는 지령(紙齡·신문 나이) 1000호가 되는 1923년 5월 25일을 앞두고 5월 4일자 2면에 ‘1000호 기념-상금 1000원의 대 현상’이라는 제목의 큼지막한 알림을 실었습니다. 무기정간을 당한 때를 빼고는 주말에도 쉬지 않고 신문을 만든 지 3년 여, 역사적인 1000호 발행을 기념해 총상금 1000원을 걸고 15개 분야에 걸쳐 현상공모를 한 겁니다. 신춘문예와는 좀 달랐던 게 단편소설, 각본, 동화, 시조 외에 각 지방의 전설, 향토 자랑, 우리 어머니, 가정 개량과 같은 분야까지 망라했죠. 편집국에 답지한 원고는 25일자부터 차례차례 소개됐습니다.

‘오늘날 정치의 엄정 비판’이라는 분야도 포함됐는데 교육, 세무행정, 감옥제도, 조선인 차별, 인권유린 등 10가지 항목에 대한 불만을 실례를 들어달라고 했으니 사실상 총독부의 비정(秕政) 고발을 호소한 것이었습니다. 마산의 김국홍은 잎담배 농사를 짓는 친지가 담배를 청하는 이웃 노파에게 부스러기 담배를 줬다가 발각돼 소를 팔아 과태료를 낸 일을 기고했고, 익명의 독자는 아무리 위중한 병이라도 ‘아’(입을 벌리라는 말)와 ‘요시’(‘좋아’라는 뜻의 일본말)만 되뇌는 교도소 의사의 불친절을 고발했습니다.

현상공모에서 가장 관심을 모았던 건 ‘조선 초유의 지도자 여론조사’였습니다. 가장 인망 있다고 생각하는 국내외 현존 인물을 투표용지에 적어 보내면 집계해 발표하겠다는 것이었죠. 투옥돼 있는 인사는 대상에서 제외했고, 동아일보와 관련 있는 인물도 객관성을 지키기 위해 뺐습니다. 국권을 뺏긴지 13년이 지났지만 민중의 지도자를 발굴하고, 그를 중심으로 하나로 뭉치자는 뜻을 담은 지상(紙上) 투표였던 셈입니다.

세 차례 더 알림을 내보낸 뒤 5월 10일부터 투표지를 접수했는데, 11일자 3면에 실린 ‘현대인물 투표-대 환영의 신 시험’은 독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렇게 소개했습니다. ‘전에 도무지 없던 초유의 일일 뿐 아니라 흥미가 극히 많은 새로운 실험이라…어디를 가든 이 인물투표가 반드시 화제가 된다.’

1923년 동아일보가 실시한 ‘현대인물 투표’ 첫날 집계 결과 1~5위를 차지한 인사들. 시계 방향으로 이승만(49표), 
최린(25표), 안창호(22표), 서재필(17표), 최남선(18표). 훗날 변절한 이들도 있지만, 당시에는 민족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들이었다. 일제는 ‘치안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부랴부랴 이를 발표하지 못하게 했고, ‘조선 초유의 새 실험’도 중단되고 
말았다.
1923년 동아일보가 실시한 ‘현대인물 투표’ 첫날 집계 결과 1~5위를 차지한 인사들. 시계 방향으로 이승만(49표), 최린(25표), 안창호(22표), 서재필(17표), 최남선(18표). 훗날 변절한 이들도 있지만, 당시에는 민족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들이었다. 일제는 ‘치안에 방해된다’는 이유로 부랴부랴 이를 발표하지 못하게 했고, ‘조선 초유의 새 실험’도 중단되고 말았다.
기사는 이어 첫날 정오까지의 투표결과를 소개했는데, 총독부가 부랴부랴 발매금지 처분을 내려 독자들은 20행 가량이 지워진 신문을 받아들 수밖에 없었습니다. 삭제된 내용은 이렇습니다. 이승만 49표, 최린 25표, 안창호 22표, 최남선 18표, 서재필 17표, 이춘재 12표, 이상재 10표, 이동휘 7표, 여운형 강일성 각 6표, 이승훈 김원봉 윤상은 신흥우 각 4표, 김좌진 3표.

훗날 변절해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등을 지내며 친일활동을 한 최린과 최남선, 해방 후 독재로 지탄을 받은 이승만도 상위권에 올랐지만 1923년 당시로서는 민족을 대표하는 지도자 감으로 손색이 없는 인사들이었습니다. 상대적으로 지명도가 떨어지는 이춘재는 청년운동에 앞장선 활동가였고, 강일성은 부유한 집안 태생이었지만 인력거꾼으로 취업한 뒤 노동운동에 헌신했죠. 윤상은은 영남 최대의 민족계 은행인 경남은행을 일으킨 실업가, 신흥우는 1952년 대통령후보로 나서기도 했던 교육가이자 정치인이었습니다.

3·1운동 후 이른바 문화정치를 표방하며 실제로는 민족분열책을 획책하던 총독부로서는 조선 민중이 뭉치는 것을 무엇보다 경계했습니다. 그래서 “치안에 방해된다”며 기사를 삭제하고 마침내 투표도 무산시키고 말았죠.

하지만 동아일보는 1927년 말 ‘조선 사람의 살 길을 찾기 위해 민족적 역량을 집중해야 하는 이때, 민중적 지도자가 더욱 절실하다’며 다시 한 번 현대인물투표를 시도합니다. 이 역시 석연찮은 이유로 중단되고 말았지만 △민중의 요구와 감정을 자기에 일체화하고 △의로움과 용기로 권력에 맞서고 △난관에 봉착하면 희생을 각오하는 지도자 상(像)을 제시해 공감을 얻었습니다. 100년 가까이 지난 오늘날에도 그대로 들어맞는 덕목이 아닐까 싶습니다.

정경준 기자 news91@donga.com

과거 기사의 원문과 현대문은 '동아플래시100' 사이트(https://www.donga.com/news/donga100)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