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가장 잘 다듬은 말은…언택트 서비스→‘비대면 서비스’

  • 뉴시스
  • 입력 2020년 12월 23일 09시 19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국어원)은 올해 선정한 다듬은 말 중 국민이 가장 적절하다고 평가한 말로 ‘비대면 서비스’가 꼽혔다고 23일 밝혔다.

일반을 상대로, 올해 선정한 다듬은 말의 적절성을 묻는 질문에 99.4%가 ‘비대면 서비스’로 교체한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비대면 서비스’는 사람과 사람이 직접 만나지 않고 이루어지는 서비스로, ‘언택트 서비스’를 알기 쉽게 대체한 말이다. 또 비대면 서비스는 ‘비대면 소비’, ‘비대면 방식’, ‘비대면 채용’처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뉴 노멀을 다듬은 ‘새 기준, 새 일상’, 롱 폼을 다듬은 ‘긴 영상, 긴 형식’(← 롱 폼) 역시 99.4%가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올해 1월부터 문체부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국어원과 함께 새로 유입된 외국 용어를 대체할 다듬은 말을 제공해 왔다.

언론사 및 공공기관에서 배포한 기사와 보도 자료를 검토해 새로 유입된 외국 용어를 발굴하고, 이들 중 공공성이 높은 외국 용어를 새말모임에서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매주 발표했다. 1월부터 12월까지 다듬어진 말은 모두 145개다.

동시에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를 매주 실시해 국민 600여 명을 대상으로 외국 용어를 다듬을 필요가 있는지, 대체어가 적절한지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는 다듬은 말을 최종 선정하는 데 반영했다.

한 해간 다듬은 어려운 외국 용어 145개 중, 가장 많은 국민이 쉽게 바꾸어야 한다고 응답한 용어는 ‘메가 리전’(76.7%)이었다. ‘메가 리전’은 교통-물류 등 사회 기반 시설을 공유하고 경제?산업적 연계가 긴밀한 인구 1000만 명 이상의 도시 연결 권역을 뜻한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이 용어를 ‘초거대 도시 연결권’으로 다듬어 발표했다.

이 외에도 응답자의 74% 이상이 ‘프롭테크’(부동산 산업 분야에서 사용하는 정보산업기술)와 ‘애자일 조직’(부서 간의 경계를 허물고 필요에 맞게 소규모 팀을 구성해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 문화)을 바꾸어야 할 외국 용어로 꼽았다. 이 용어들은 각각 ‘부동산 정보 기술’과 ‘탄력 조직’으로 다듬었다.

이와 함께 2020년 새말모임에서 다룬 외국 용어의 분야를 정리한 결과, ‘단건 집중 회의’(← 원포인트 회의), ‘동물 수집꾼’(← 애니멀 호더)과 같은 사회일반 분야의 용어(29건)를 가장 많이 다듬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일반 분야 용어에는 사회학과 관련된 용어, 사회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 사회 여러 분야에 두루 걸치는 용어가 포함된다.

또한 ‘1인 경제’(← 1코노미), ‘공황 매도’(← 패닉 셀링)와 같은 경제 분야 용어는 16건, 정보통신 분야와 보건 분야 용어는 각각 13건을 다듬어 사회일반 분야의 뒤를 이었다.

어려운 외국 용어를 이해하기 쉬운 말로 바꾸려는 정부의 노력에 대해 응답자들은 부정적 평가보다 긍정적 평가를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에서도 다듬은 말 사용에 함께했는데 54개 언론매체를 대상으로 언론에서 많이 사용한 다듬은 말을 조사(1월1일~12월7일)한 결과, ‘첫 확진자’(← 지표 환자, 보건 분야), ‘비접촉’(← 태그리스, 정보통신 분야), 비대면 서비스(← 언택트 서비스, 정보통신 분야) 순으로 사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은 24일부터 31일까지 문체부 누리소통망(www.facebook.com/mcstkorea)에서 낱말 찾기 방식으로 ‘이런 다듬은 말 어때?’라는 홍보 행사를 진행한다.

문체부는 “내년에는 분야별 용어 분포를 파악하고 ‘새말모임’을 더욱 체계적으로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라면서 “이와 함께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 대상을 1000명으로 늘려 국민과의 소통을 토대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다듬은 말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