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에 지어진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 보물 지정 예고

  • 뉴시스
  • 입력 2020년 12월 24일 09시 56분


문화재청이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에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재 제1호 ‘비암사 극락보전(碑巖寺 極樂寶殿)’을 24일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건물 조성연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찾을 수 없으나, 17세기 중엽 지방 사찰 불전의 시대특성과 지역색을 잘 간직한 점에서 국가지정문화재로의 가치가 지닌 것으로 평가받았다.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특별자치시 승격 이후 건축문화재로는 처음으로 비암사 극락보전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신청했다. 문화재위원회에서 가치가 충분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번에 보물 지정 예고를 하게 됐다.

비암사는 통일신라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온다. 그 외에도 여러 창건설이 있으나 확실한 연혁은 알 수 없다. 하지만 673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국보 제106호)이 비암사에서 출토됐고, 지금까지 이 고장에서 비암사를 ‘삼한고찰(三韓古刹)’로 부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사찰의 창건 시기는 고대로 거슬러 볼 수 있다.
극락보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일반적인 측면 3칸형에서 벗어난 2칸형 불전이다. 전란 이후 사찰 경제가 축소된 사정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공포의 구성은 크기에 따른 대첨차, 중첨차, 소첨차를 모두 사용한 특징이 있다. 첨차를 배열한 방식, 내외부의 살미 모양 등에는 조선 중기 이후 다포 건축물에 보이는 특징들이 잘 반영돼 있다.

살미와 첨자는 기둥 위에서 십자모양으로 짜이는 공포부재다. 살미는 건물 전면으로 내민 초가지를 말하고, 첨차는 도리방향으로 층층이 쌓아 올린 부재를 뜻한다. 첨차는 크기에 따라 대첨과 소첨으로 나누며, 그 중간 크기를 중첨이라 한다.

극락보전의 가구 구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중요한 요소는 측면 규모다. 측면이 2칸이면서 팔작집을 지으려다 보니 일반적인 상부가구 구성으론 대응이 쉽지 않았다. 보통 건물에서는 충량 1본을 뒀으나, 극락보전은 충량을 좌우 협칸에 각각 3본씩 설치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측면 주칸이 긴 편이어서 충량(한쪽 끝은 기둥위에 짜이고 한쪽 끝은 보에 걸치게 된 측면의 보)을 보조로 설치해, 추녀에 걸리는 하중을 감당하려는 의도로 추측된다.
창호는 일반적인 조선후기 불전 창호와는 차별성이 보인다. 앞쪽 창호는 문얼굴을 4분할해 가운데 두 짝은 여닫이를 두고 문설주(문의 양쪽에 세워 문짝을 끼워달게 만든 기둥)로 분리하고, 나머지 좌우에는 외짝 여닫이를 설치했다.

뒷쪽 창호는 이른바 영쌍창(운데에 문설주를 두고 좌우에 창호를 달아댄 형태)으로 분류되는 방식이다. 쌍여닫이창의 중간에 설주를 세운 형태다. 건립 당시에 제작한 창호는 아니지만 뚜렷한 근거를 토대로 창호의 원형을 되살렸다는 점에서 극락보전의 건립시기에 걸맞은 외관을 보여준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