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플래시100]‘민족적 단결’ 높이 외친 동아일보에 날아든 돌팔매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2월 16일 11시 40분


1924년 01월 29일

플래시백
1924년 벽두인 1월 2일자부터 동아일보 1면에 사설 ‘민족적 경륜’이 5회 연속 실렸습니다. 이광수가 집필한 이 기획 사설은 ‘우리는 무슨 방법이든지 조선 안에서 전 민족적인 정치운동을 하도록 새로운 국면을 열어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2000만 명에 이르는 민족으로 아무런 정치 활동을 하지 못하는 민족은 동서고금에 없다고 하면서요. 훈련하고 단결해서 하루 빨리 민족의 정치적 중심세력을 만들어 앞날에 대비하자는 취지였습니다. 정치뿐만 아니라 산업과 교육 분야의 3대 조직은 우리 민족이 살아갈 길을 찾는 일이고 백년을 내다보는 삼위일체라고 강조한 것이죠.


그런데 2회분 ‘정치적 결사와 운동’에 ‘조선 내에서 허하는 범원 내에서 일대 정치적 결사를 조직하여야’라는 구절에 시비가 붙었습니다. 이는 총독부가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정치조직을 만드는 ‘자치제’라는 비판이 날아든 것이었죠. 북성회를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 세력이 ‘동아일보=자치’ 딱지를 붙이며 공격에 앞장섰습니다. 이들은 동아일보와 총독부가 손잡고 이런 주장을 했다고까지 비난했습니다. 무산자혁명을 내세운 사회주의 세력은 동아일보를 유산계급의 대표신문으로 지목해 틈만 나면 목소리 높여 비판했죠. 1922년 1월 운양 김윤식 장례 때도 사회장으로 모시자는 동아일보의 제안을 불매운동까지 들먹이며 반대했습니다.(2020년 8월 22일자 ‘친일? 항일! 사회장 찬성? 반대! 운명한지 2주 만에…’ 참조)

동아일보의 정치조직 제안은 평지돌출 식으로 툭 튀어나온 게 아니었습니다. 이미 1922년 1월 1일부터 ‘현대정치요의’를 22회 연재하면서 ‘국체와 정체’ ‘전제정치와 입헌정치’ ‘삼권의 분립과 민권의 신장’ 등의 정치이론을 하나하나 짚었죠. 더불어 ‘정치적 자유’도 강도 높게 요구했죠. 자유가 없으면 문화정치가 무단정치와 무슨 차이가 있느냐면서요. 이런 준비 끝에 이해 7월 마침내 정치적 중심세력 개념을 내놓습니다. 사회주의 같은 이념이 아니라 민족을 중심으로 현실을 냉철하게 직시하고 단결해야 한다는 의미였죠. 수백만 명이 참여해야 하는 거대한 구상이었고 상하이에 있을 때 흥사단에 가입했던 이광수를 매개로 안창호의 민족운동노선과도 맥이 닿아 있었습니다. 정치적 실력양성운동이라고 할까요.


정치조직은 실제로 첫걸음을 내딛기까지 했습니다. ‘인촌 김성수전’에 1923년 12월 김성수 송진우 최원순 신석우 안재홍 최린 이종린 이승훈 조만식 서상일 등 민족주의자들이 모여 조직문제를 협의했다고 나옵니다. ‘연정회’의 출발이었죠. 일제 기록에는 1924년 1월 중순에 만났다고 나와 시점은 좀 다릅니다. 어쨌든 물산장려운동과 민립대학설립운동의 힘이 빠진 시점에 민족주의자들이 새로운 길을 찾기 위한 모임이었던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대대적인 산업결사와 교육결사를 통해 두 운동의 불씨를 되살리려는 의도도 있었겠죠. 하지만 자치 논란이 거세지면서 연정회는 더 이상 구체화되지 못한 채 유야무야 되고 말았습니다.


동아일보 1924년 1월 29일자 사설 ‘정치적 결사와 운동에 대하여’는 만약 오해를 불렀다면 ‘표현이 서투르고 논리가 불철저했’기 때문이라며 이해를 구하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자치’라는 단어를 분명하게 써서 반대하지는 않았습니다. 의심을 살 만한 정황이었죠. ‘자치 반대’라고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은 이유는 정치운동의 미묘함을 감안했던 고심의 결과로 보입니다. 독립을 최종 목표로 향해 나아가다 보면 중간 어디쯤에선가 있을지도 모를 합법적 정치활동을 마냥 외면할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었겠죠. 단순히 자치를 목표로 삼지 않았기에 1922년 일각에서 내정독립론이 제기됐을 때 동아일보는 사설 ‘내정독립도 독립인가’를 통해 가차 없이 비판했습니다. 내정독립은 진정한 독립과 하늘과 땅만큼 차이가 있다고 지적한 것이죠.

이진기자 leej@donga.com

과거 기사의 원문과 현대문은 '동아플래시100' 사이트(https://www.donga.com/news/donga100)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