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쪽 사람의 얘기를 들어보는 과정도 없고, 의혹이 믿을 만한 것인가에 대해서 검증받을 만한 것도 없다. 다른 언론사들이 하는 정도의 팩트체크와 반론 수집 같은 것들은 거쳐야 되는 것 아닌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지난해 8월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대한 제재를 논의할 때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출신인 이소영 방심위원이 한 말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정의기억연대를 비판한 기자회견문에 대해 김어준 씨가 지난해 5월 방송에서 “할머니가 쓴 게 아닌 게 명백해 보인다. 누군가의 의도가 반영돼 있다”고 한 것에 대한 지적이다. 방심위는 객관성 위반으로 법정제재인 ‘주의’를 내렸다.
서울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TBS의 편파적인 행보가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이런 와중에 경기도도 라디오 방송을 추진하고 나서 ‘제2의 TBS’가 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더해지고 있다.
○ 세금 쓰면서 편파 방송
1990년 서울시 산하 사업소로 출발한 TBS는 운영 예산 대부분을 서울시로부터 지원받는다. 방송 독립성을 명목으로 2020년 2월 별도 재단인 서울시미디어재단TBS가 출범했지만 여전히 재정은 서울시에 기대고 있다. TBS는 2019년 예산 506억 원 중 422억 원(83%)을 서울시에서 받았다(전년도 이월 예산 포함). 재단 출범 후에도 서울시의 출연금은 지난해 388억 원, 올해 375억 원으로 TBS 전체 예산의 70%가 넘는다.
서울시는 TBS에 예산은 지원하지만 인사나 프로그램에 개입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재단 이사장과 대표이사 등의 최종 임명권이 서울시장에게 있다. 수뇌부 인사를 통해 자연히 방송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TBS에 친정부 인사들이 포진한 것도 이런 구조 때문에 가능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2015년 TBS 대표이사로 임명된 정찬형 씨(현 YTN 대표이사 사장)는 2012년 언론노조 MBC본부가 김재철 당시 MBC 사장 퇴진을 요구하며 파업할 때 간부로 참여했다. 그가 2016년 만든 프로그램이 ‘김어준의 뉴스공장’이다. TBS는 교통·생활 정보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만들어졌지만, 정작 출근 시간대인 월∼금요일 오전 7∼9시에 시사 위주인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내보내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2018∼2020년 4기 방심위에서 법정 제재를 6개 받아 지상파 및 종합편성채널 프로그램 중 가장 많았다. 모두 객관성 위반이다.
‘김어준의 뉴스공장’은 지난해 8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 설문 조사에서 ‘중립성’ 항목이 54점을 받아 경쟁 프로인 ‘김현정의 뉴스쇼’(87점), ‘김종배의 시선집중’(84점)보다 낮았다.
2018년 TBS 대표이사가 된 이강택 씨(현 서울시미디어재단TBS 대표이사)는 KBS 노동조합 편집국장,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을 지냈다. 이 대표 취임 이듬해 주진우 씨가 진행하는 ‘아닌 밤중에 주진우입니다’(월∼금요일)와 가수 이은미 씨의 ‘이은미와 함께라면’(월∼금요일)이 시작됐다. 지난해 3월에는 정준희 한양대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겸임교수가 진행하는 미디어 비평 프로그램 ‘정준희의 해시태그’를 TBS TV에 편성했다. 정 교수는 편향성 논란을 겪은 KBS ‘저널리즘 토크쇼 J’의 고정 패널이었다.
올해 1월에는 재단 이사장에 진보 성향으로 알려진 유선영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임명됐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이 자신의 임기가 3개월 남은 시점에 유 교수를 임기 3년의 이사장으로 임명한 것. 박대출 국민의힘 의원은 “(서울시장이 공석인) 권력 공백기를 틈탄 전형적인 알박기”라고 비판했다.
TBS는 지난해 11월 유튜브 구독자 확대 캠페인을 하며 더불어민주당의 선거 기호를 연상케 하는 ‘일(1)합시다’라는 표현을 사용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TBS의 편파성 논란이 커지자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는 당선되면 TBS에 대한 재정 지원을 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TBS에 대한 서울시의 지원 예산액은 서울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해야 결정되지만 편성 권한은 서울시에 있다.
○ ‘제2의 TBS’ 우려
TBS의 방송 내용이나 인선의 편향성이 문제가 되고 있지만 경기도도 공영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겠다는 방침이다. 경기도의회는 19일 ‘경기도 공영방송 설치 및 운영 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경기도의회는 141석 중 132석을 민주당이 차지해 다음 달 조례안 통과가 유력하다.
경기도는 지난해 민영 지상파 사업자였던 경기방송이 자진 폐업하며 반납한 라디오 주파수를 받아 방송을 한다는 계획이다.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만 받으면 경기도는 라디오 방송을 할 수 있다. 경기도는 31개 시군과 함께 자본금 150억 원을 마련해 올해 방송 사업에 투입할 예정이다. 내년 방송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방통위 심사 작업이 빨리 끝나면 방송 시기가 올해 안으로 당겨질 수도 있다. 박성희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는 “경기도가 내년 3월 대통령선거와 6월 전국지방선거를 앞두고 경기도 방송을 출범시킨다면 여당 편향적인 방송으로 활용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