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와 협력해 공군 발주 연구과제 수행
보잉 747-400 활용해 공중발사체 연구·개발
지상발사 지리적·시간적 한계 극복 가능
대한항공이 항공기를 활용해 공중에서 발사하는 형태의 우주발사체 연구에 나선다.
대한항공은 서울대학교오 함께 공군 항공우주전투발전단 우주처가 발주한 ‘국내 대형 민간항공기 활용 공중발사 가능성 분석 과제’ 연구에 착수했다고 20일 밝혔다.
현재 운영 중인 보잉 747-400 기종 항공기를 활용한 공중발사체 개발을 위해 기술적 수준과 주요 적용기술, 연간 운영비용, 개조방안 등을 분석하고 상용화 방안까지 모색하기로 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한·미 미사일 지침으로 인해 공중에서 발사하는 형태의 발사체 개발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지난 5월부터 해당 지침이 종료돼 공중발사체 개발과 운용이 가능하게 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항공기를 활용한 공중발사체 개발이 대한민국의 지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현재 나로우주센터에서 위성을 발사하면 일본과 대만 사이를 통과해야하기 때문에 남쪽으로만 가능한 상황이다. 공중발사체를 이용하면 다양한 궤도로 발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약 12km 상공에서 발사하기 때문에 기상 여건에 관계없이 언제든 발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별도 발사장 건설 및 유지를 위한 비용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향후 자체 발사대가 없는 다른 국가에 발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발사 수출’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공중발사체를 실제로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업체 버진오빗(Virgin Orbit)이 개발한 공중발사체 ‘런처원(Launcher One)’은 올해 1월과 6월에 보잉 747-400 기종을 이용해 공중발사체 발사에 성공한 바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새로운 우주 시대를 맞아 군·관·산업계에서 앞 다퉈 소형 위성의 군집 운용 활용계획이 발표되고 있지만 국내에서 다수의 소형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환경은 아직 미흡하고 열악한 상황”이라며 “지상발사의 지리적 한계와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공중발사체 개발은 우주 시대에 도태되지 않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이어 “대한항공의 오랜 항공기 운영 경험과 축적된 항공기 체계종합, 나로호 총조립 기술 역량 등 항공우주사업 전문성을 접목한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공중발사체 개발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