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135㎝ 성인 여성 제물로 바쳤다…경주 월성 서성벽서 인신공양 인골 발굴

  • 뉴스1
  • 입력 2021년 9월 7일 10시 43분


월성 서성벽에서 4년 만에 추가로 발견한 여성 인골 1구. 문화재청 제공
월성 서성벽에서 4년 만에 추가로 발견한 여성 인골 1구. 문화재청 제공
월성 서성벽 조사구간 위치
월성 서성벽 조사구간 위치
신라 왕성인 경주 월성(月城) 성벽에서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의식인 인신공희(人身供犧·인신공양) 흔적으로 추정되는 인골이 4년 만에 추가로 나왔다.

7일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17년 인신공희 사례로 인골 2구를 확인한 월성 서성벽에 대한 발굴을 진행해 성인 여성 인골 1구를 추가로 발견했고, 신라 왕성인 월성의 축조 연대와 축성 방식도 최초로 밝혀냈다고 밝혔다.

월성 서성벽의 인신공희는 국내 유일의 성벽 의례이며, 현재까지 신라가 최초로 축조한 왕성 월성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17년 인신공희 긴급 보고 이후, 월성 서성벽 구간을 정밀 조사해 국내에서 최초로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사람, 동물 등을 제물로 바친 정황을 확인했다. 또한, 서성벽의 축조 공정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월성 성벽의 토목 기술과 축조 시기를 살펴보기 위한 추가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로 월성 기초부 공사를 끝내고 성벽을 거대하게 쌓아 올리기 전, 성벽과 문지가 견고하게 축조되길 바라는 인신공희가 거행됐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2017년에 보고된 50대 남녀 인골에 더해, 성인 여성 인골과 동물 뼈 등을 추가로 확인했다.

이번에 확인된 여성 인골은 이전과 달리 곡옥 모양의 유리구슬을 엮은 목걸이 및 팔찌를 착용하였고, 키가 약 135cm 가량으로 체격이 왜소했으며 20대 전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물 뼈는 말, 소 등 대형 포유류로 추정되며, 늑골 부위 위주로 선별하여 제물로 바쳐졌다.

인신공희 지점에서 북서쪽으로 약 10m 정도 떨어진 곳에는 1985년과 1990년 시굴·발굴조사에서 출처 불명의 인골 20구 이상이 일괄적으로 확인된 바 있는데 이번에 밝혀진 월성의 축성 작업과 비교한 결과, 이들 인골 또한 성벽 축조 과정과 관련하여 묻힌 것으로 밝혀졌다.

월성 서성벽 조사는 축성 시기, 토목 기술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중요성이 크다.

‘삼국사기’, ‘삼국유사’ 기록에는 월성이 파사왕 22년(101년)에 축조된 것으로 등장하지만, 이런 축성 기록은 실제 축조 연대보다 많이 앞당겨진 시기로 여겨져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이번 서성벽 발굴조사를 통해 월성은 문헌 기록과 약 250년 차이 나는 4세기 중엽부터 쌓기 시작해 5세기 초에 이르러 완공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월성 서성벽의 축조 연대는 출토된 유물의 전수 조사와 40여 점에 가까운 가속질량분석기(AMS, Accelerator Mass Spectrometer) 연대 분석에 기반해 이루어졌고, 양자 간의 정합성을 최대한 맞추어 자료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했다.

월성은 신라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토성으로 알려졌지만, 그 축조 수준은 토목공학적으로 다양한 축성 기술이 집약됐다.

먼저, 일정 간격으로 나무 말목을 박은 지정(地釘)공법과 목재, 식물류를 층층이 깐 부엽(敷葉)공법 등 기초부 공사를 통해 월성 지형의 연약한 지반을 보강했다. 이후, 본격적으로 성벽 몸체를 만드는 체성부 공사에서는 볏짚·점토 덩어리·건물 벽체 등을 다양한 성벽 재료로 사용해 높고 거대하게 만드는 토목 기술을 확인했다.

월성 성벽은 너비 약 40m, 높이 10m 이상으로 추정되어, 신라인들의 뛰어난 토목 기술과 당시 왕성의 웅장함을 그려볼 수 있다.

월성 서성벽 조사 성과는 7일 오후 4시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 현장 설명회로 공개한 후, 다음 날인 8일에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해 학술적 의미를 토론할 예정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