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에세이 ‘도망가자, 깨끗한 집으로’(멀리깊이)를 펴낸 신우리 씨(32)가 이렇게 말하며 웃었다. 산후 우울증으로 인해 한때 정리가 안 될 정도로 불필요한 물건들을 잔뜩 사 들이며 살았던 신 씨는 이를 스스로 극복한 경험을 이 책에 담았다. 장난감이 많이 필요한 어린 아이를 키우는 집도 말끔하게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까? 6일 신 씨를 만나 그가 직접 터득한 집 정리 팁을 들어봤다.
“육아와 관련한 ‘국민템(국민+아이템)’들은 전부 다 샀었어요. 어느 날 쌓인 물건들이 창문을 가려 한낮에도 집 안이 어두운 모습을 보고 문제가 심각하다는 걸 깨달았죠.”
현재 8살, 6살 난 두 아들이 한창 자라던 2016년 신 씨는 아이들이 잠든 늦은 밤이면 날마다 인터넷 창을 열어 쇼핑을 했다. 주로 사들인 물건들은 육아에 좋다는 장난감과 동화책들. 아이들이 시간 가는 줄 모르며 논다는 대문 모형의 장난감 ‘국민문짝’, 안전하게 숟가락 사용법을 익힐 수 있다는 ‘국민 숟가락’ 등 남들이 좋다는 용품은 모두 구매했다.
그러나 아이들을 위해 구매한 물건들이었지만 집이 답답해질수록 신 씨는 아이들에게 더 예민하게 구는 날이 많아졌다. 아이를 낳기 전까지 신 씨는 성실하고 모범적인 학생이고 직장인이었다고 한다. 출산 전 금융권에서 재무설계사로 일할 당시에는 동료들에 비해 좋은 성과를 내 촉망 받는 직원이었다. 그랬기에 육아도, 살림도 엉망인 모습을 더욱 받아들이기가 어려웠다. 신 씨는 동화책으로 가득 채워 타카핀이 벌어져버린 책장을 내다 버리는 것에서부터 ‘집 비우기’를 시작했다.
신 씨는 “버릴까 말까 망설여지는 물건들은 모두 버리고 ‘이건 절대 없으면 안 돼’하는 물건들만 남겼다”고 말했다. 그렇게 집을 비웠더니 물건의 30%밖에 남지 않았다. 정리에 관해 쓰인 책 40여 권을 탐독하며 집 정리의 이론과 실재를 배웠다. 그는 “한 서적에서 ‘물건들은 주인에게 도대체 언제 써 줄 거냐고 말을 건다’는 글을 읽고 물건이 가득 찬 집이 왜 그렇게 답답하고 소란스러웠는지 알게 됐다”고 했다.
필요 없는 물건을 버렸다면 남긴 물건들을 잘 정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신 씨네 가족은 ‘개인 물건을 거실에 두지 않기’라는 원칙을 만들었다고 한다. 아빠가 셔츠를 소파에 걸어 두면 아이들도 쫓아서 장난감을 거실에 널브러뜨리기 마련이기 때문. ‘물건을 바닥에 내려두지 않기’도 거실 바닥에 물건들이 나뒹굴지 않게 하는 중요한 원칙이다. 신 씨는 “아이들 방에는 각 물건의 위치를 지정해 이름표를 붙이는 걸 추천한다. 아이들이 스스로 물건을 정리하며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게 된다”고 말했다.
어린 아이를 키우는 집들은 대개 장난감이 거실 바닥에 굴러다니고 책장은 각종 전집들로 미어 터진다. 신 씨는 오늘도 물건이 가득 찬 ‘집구석’에서 고통 받고 있을 양육자들이 이 책에서 희망을 봤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책장을 버렸을 때 시원하게 모습을 드러낸 벽면을 보고 가슴이 뻥 뚫리는 걸 느꼈어요. 어마어마하게 쌓인 물건들을 정리할 엄두가 나지 않겠지만 변화는 아주 작은 틈에서 시작된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