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는 13일 “2016년 도청 신도시에 풍천풍서초등학교가 개교하면서 폐교된 옛 풍서초등학교는 ‘안동역사문화박물관’으로 탈바꿈했다. 안동중학교 와룡분교도 2018년 교문을 닫았으나 20세기 다양한 추억을 선사하는 ‘추억박물관’으로 다시 태어났다”고 밝혔다.
‘안동역사문화박물관’은 향토사학자 권영호씨(70)가 사재를 털어 2019년 문을 열었다. 40여년 동안 향토자료를 수집해 1998년 하회마을 입구에서 유교문화전시관을 운영해오다 폐교를 임대해 옮겼다.
폐교된 교실은 리모델링해 1층과 2층 10개 교실을 전시실과 수장고로 꾸몄다. 여기에 조선시대부터 1970년대까지 고문서류와 전적류, 민속자료, 근·현대 자료, 초등 교육자료 등 수만점을 주제별로 전시해놨다. 지난해 11월 사이먼 스미스 주한 영국대사 내외가 이곳을 찾아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조선시대 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는 ‘대동운부군옥’ 뿐 아니라 1300년대 간행으로 추정되는 ‘배자예부운략’과 추사 김정희 친필, 퇴계선생 문집과 매화시첩, 보백당선생 실기와 정부인장씨 실기, 김만중의 고대소설 ‘구운몽’ 등 수많은 희귀 고서적류를 볼 수 있다.
또 50∼60대 추억을 떠올리는 자료도 눈에 띄인다. 불온 삐라 신고포스터와 오래된 만화포스터와 만화책, 60∼70년대 초등학교 교과서, 지금은 볼수 없는 오래된 농기구 등이 눈길을 끈다. 입장요금은 어른 5000원, 청소년 3000원이며 권영호 관장이 직접 가이드를 담당해 전시물을 설명해준다.
안동시 와룡면 지내리 옛 안동중학교 와룡분교에 자리잡은 ‘안동 추억박물관’도 20대부터 70대까지 추억이 깃든 물건들이 수두룩하다. 서울 동일여고에서 40여년 동안 교편을 잡다 퇴직한 최남도씨(68)가 고향의 폐교를 임대해 박물관을 열었다. 40여 년간 수집한 수만점의 20세기 생활유물들이 색다른 추억거리가 되고 있다.
전시관 입구에 비치된 1960년대 바리깡은 씹혀 들어간 머리카락으로 인해 금방 따가움이 전해오는 듯하다. 오래된 다리미와 대패도 옛날을 자극한다. 어린 시절 부끄러워 눈 가린 손가락 사이로 보던 극장 포스터는 ‘조조할인’을 떠올리며 웃음이 터진다.
1960∼70년대 성인용 주간 오락잡지로 인기를 독차지 하던 ‘선데이 서울’과 부모의 눈길을 피해 숨어 읽던 오래된 야설도 젊은 시절을 돌아보게 한다. 동전으로 바뀌기 전의 500원 짜리 지폐와 지금은 매우 귀한 1원 짜리와 5원짜리 동전도 눈에 뛴다.
오래된 전화기와 색 바랜 전화번호부, 아직도 눈에 선한 2G폰과 비디오 테이프, LP판,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오래된 금복주 소주병 등이 세월의 흐름을 되새기게 한다.
1926년 6.10만세 사건 후 영화 ‘아리랑’홍보를 위해 제작됐다가 일제에 의해 모두 압수된 것으로 알려졌던 ‘아리랑 홍보전단지’가 원본으로 확인되면서 추억박물관의 자랑이 되고 있다.
이 밖에도 라디오와 타자기, 여닫이가 있는 TV, 1950∼70년대 교과서, 장난감, 딱지, 가전제품 등 헤아릴 수 없는 수많은 생활유물들이 추억속으로 빠져들게 한다. 추억박물관의 모든 전시물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