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vs 아날로그. 대칭적으로 생각한다면 두 단어는 반대말입니다. 그런데 아니지요. 아날로그는 디지털이 파생시킨 개념입니다. 디지털 이전엔 모든 것이 아날로그였으니까요. 선배 아날로그가 후배 디지털을 탄생시킨 것이 아니라, 후배 디지털 덕분에 선배가 ‘아날로그’란 이름을 얻은 셈이죠.
레트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새로움이 없었다면 옛것을 찾는 일도 없었겠죠. 다만 옛것이라고 모두 레트로·빈티지로 인정받는 것은 아닙니다. 세월을 넘어서는 보존 가치가 있어야 평가를 받겠지요. 신기술 시대에 왜 레트로가 관심을 받을까요? 추억 감성도 있지만 레트로 열풍 이면엔 디지털 포비아가 있습니다.
▽인류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역사를 발전시켜 왔습니다. 경제력이 정체되면 역사도 멈췄습니다. 인류의 발전은 생산력이 뒤받쳐줘 가능했죠. 그리고 늘 새로운 기술이 있었습니다. 즉 발전의 원동력은 신기술이라고 연결됩니다. 문제는 신기술이 거꾸로 퇴행에 악용되기도 한다는 것.
세계 역사는, 중세를 끝내고 근대를 연 신기술로 구텐베르크의 금속활자 인쇄술 혁명(1440년)을 꼽습니다. 대량 복제술로 성경을 대중화해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을 뒷받침하고 지식의 독점을 깨 중세의 몽매함으로부터 인류를 해방시켰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역사가 잘 알려주지 않는 뒷면도 있습니다. 1487년 라틴어로 ‘Malleus maleficarum(마녀 철퇴)’라는 책이 슈트라스부르크에서 처음 출간됩니다. 마녀의 행동을 기술했는데 말하자면 ‘마녀 감별법’ 책입니다. 200여 년 간 29판을 거듭한 엄청난 스테디셀러였습니다. 한 때 성경보다 더 많이 팔렸는데, 결과적으로 이 책은 대량 학살을 부릅니다. 신기술 때문에 마녀사냥이 유행해 애먼 사람들이 숱하게 죽은 것이지요.
20세기 초반부터는 한반도 땅에도 전깃불이 퍼졌습니다. 주경야독이 가능해지자 서당이 많이 생겼다고 하는데요, 과거제도도 없어졌는데 신문물 교육 대신 도로 서당 공부가 유행했다니 역설적입니다.
21세기엔 IT 디지털 미디어가 폭증했습니다. 인류의 소통 문화는 향상됐을까요. 소통량이 늘고 누구에게나 발행권이 주어지며 개인 미디어 시장이 커졌습니다. 그와 더불어 가짜뉴스와 혐오콘텐츠, 책임지지 않는 주장과 발언이 쏟아집니다. 일부 사용자들은 게임 미디어에 중독 돼 일상을 누리지 못합니다.
▽신기술 포비아(phobia)는 단순하게 새로운 기기에 적응 못 하는 불안감이 아닙니다. 미래세계에 대한 거부감, 막연한 반감 정서만은 아닙니다. 실제로 부작용을 일으키니까요. 아직은 통제를 완전히 할 수 있는지 없는지 확인이 덜 된 ‘불편한 현실’입니다.
▽레트로는 ‘현실’이 아니죠. 현실만 일단 벗어나면 모든 것이 낭만적입니다. 중장년층에겐 추억을, 젊은이들에겐 신기한 호기심을 줍니다. 모두에게 판타지입니다. 그러면서도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자신이 소유한 물성의 가치를 꾸준하게 뽐냅니다. 이미 검증이 충분히 된 매력이죠. 불안한 미래가 아니라 이미 통제됐던, 현재도 통제 가능한 ‘두렵지 않은’ 물성입니다.
세월이 지나면 지금 제품들이 레트로가 되고 빈티지가 되겠지요. 레트로는 현역 시절 당시에도 매우 유용하고 인기 있는 제품이었습니다. 당시에 유용한 물건들이 모두 레트로로 인정받는 것은 아니지만, 당시에도 쓸모를 통제 받지 못 한 제품은 훗날 레트로가 될 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