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2년 차 때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심정지가 발생했다. 당직 중이던 전공의들은 중환자실로 모여들었다.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에서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담당하는 박중철 교수(47·사진)도 그중 하나였다. 그를 포함한 전공의들은 돌아가며 심폐소생술을 했다. 40분간 지속된 심장 마사지에 흉곽은 주저앉았고, 압박할 때마다 입에 꽂혀 있는 호흡관으로 피가 뿜어져 나왔다. 결국 환자에게는 사망 선고가 내려졌다. 다음 날 비참하게 망가진 아내의 모습에 충격을 받은 환자의 남편은 “사람을 이렇게 끔찍한 몰골로 죽게 만들었어야 했느냐”며 울부짖었다.
박 교수는 10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그때 이후 의학의 목표가 과연 사람의 행복인지, 기술의 실현인지 혼란이 생겼다”고 했다. 5일 출간된 ‘나는 친절한 죽음을 원한다’(홍익출판미디어그룹)는 그가 20여 년간 환자들의 죽음을 보며 느낀 한국 의료 시스템의 문제점을 담은 책이다. 그는 의학기술의 발달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이 아닌 병원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현실, 그 과정에서 연명치료로 인해 환자가 고통받는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를 지적했다.
환자가 고통스러워도 연명치료를 할 수밖에 없는 근본적 이유에 대해 그는 “우리 사회가 생명 가치만을 절대 추앙하는 ‘생의 전체화’에 도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의학 드라마를 비롯한 대중매체는 중증환자를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않고 살려내는 의사들을 영웅으로 그립니다. 생명 가치에만 집착하면 환자도 죽음을 재앙으로 생각하고 마지막까지 의학의 힘을 빌려 싸우게 됩니다. 의사들도 이길 수 없는 싸움에 함께하며 비극을 만듭니다.”
그가 생각하는 ‘친절한 죽음’은 무엇일까. 그는 의료진이 객관적 의료지침에 충실한 것만이 의학적 최선이라고 여기는 가치관이 바뀌어야 한다고 했다.
“환자의 삶과 가치관, 나아가 정체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의학적 판단을 내리는 ‘서사적 생명윤리’가 필요합니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 두렵고 떨릴 때 가족과 의료인이 위로해주고 응원해주는 문화, 그게 제가 생각하는 친절한 죽음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