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석으로 다가온 카사노바가 당신을 유혹한다면…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7월 18일 11시 20분


이탈리아 출신 자코모 카사노바(1725~1798)는 바람둥이의 대명사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의 자전적 기록에 따르면 카사노바는 공식적으로 122명의 여성과 관계를 맺었다. 하지만 영국의 극작가 데이비드 그레이그가 2001년 완성한 희곡에서 카사노바가 만난 여성은 무려 1000명. 그럼에도 공허함을 느끼는 카사노바는 유럽 전역을 누비며 마지막 운명의 상대를 찾아 헤맨다.

영국을 대표하는 극작가 데이비드 그레이그의 ‘카사노바’가 신예 스타 연출가 임지민 연출가(38)의 손을 거쳐 연극으로 태어났다. 국내 초연되는 ‘카사노바’는 젊은 예술가의 창작 실험을 지원한다는 취지로 새롭게 단장한 국립정동극장 세실의 개관작이다.

2014년 데뷔한 임지민은 ‘집에 사는 몬스터’(2019년)로 제40회 서울연극제 대상을, 박상영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2021년)로 제58회 동아연극상 작품상과 연출상을 받으며 연극계가 주목하는 스타 연출가로 부상했다.

15일 서울 중구 국립정동극장 세실에서 만난 그는 “여러 영화, 드라마에서 카사노바를 호색한 혹은 결국 한 여자를 사랑하게 된 로맨티시스트로 그려냈지만 그건 답이 아니라고 생각했다”며 “카사노바가 ‘몇 명의 여성을 만났나’보다 ‘어떤 방식으로 관계를 맺었나’에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연극에는 작가가 창조한 허구의 인물이 여럿 등장한다. 카사노바(지현준) 때문에 아내와 이별해 복수극을 꾸미는 캐비넷 메이커(정승길), 카사노바의 첫사랑 미세스 테넌트(이영숙)와 그의 비서 마리 루이스(허진). 그리고 캐비넷 메이커가 복수를 위해 고용한 탐정 케이트(이지혜). 그 밖에 카사노바와 데이트한 5명의 여성은 케이트를 연기한 배우 이지혜가 1인다(多)역을 펼친다.

“희곡을 처음 읽었을 때 한 장의 그림이 떠올랐어요. 네모난 액자 안에서 카사노바는 여성과 정사를 나누고, 캐비넷 메이커는 그 액자에 망치질을 하고, 미세스 테넌트가 세 사람을 흐뭇하게 바라보죠. 그 모습을 공간적으로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카사노바와 정반대 성격을 가진 캐비넷 메이커는 존재만으로 연극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선명하게 만드는 인물이다. 대척점에 선 두 사람의 서사를 겹겹이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연극은 진행된다. 그는 “카사노바는 매 순간에 전념하는 자, 캐비넷 메이커는 일생을 전념하는 자”로 표현했다.

“카사노바는 상대에 따라 감각적으로 변화, 교감할 수 있는 인물이고, 캐비넷 메이커는 변하지 않는 자신의 관점으로 상대를 대하는 사람이에요. 섣불리 한 쪽 편을 들고 싶진 않았습니다. 두 사람의 이야기를 본 관객이 직접 판단하게 하고 싶었어요.”

전작에서도 보여준 그의 특기,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무는 공간연출은 이번 작품에도 유효했다. 프로시니엄 무대를 벗어나 객석 사이사이 배우가 연기할 공간을 심어뒀다.

“극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배우들의 리얼한 호흡, 그 체험을 극대화하는 게 무대예술의 본질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왕 무대에서 하는 거라면 살아있는 몸들이 관객에게 생생한 체험으로 다가오는 게 더 ‘대박’ 아닐까요.”

  • 좋아요
    8
  • 슬퍼요
    0
  • 화나요
    1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8
  • 슬퍼요
    0
  • 화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