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이 앞으로 차례상을 간소화해 음식은 최대 아홉 가지만 올리고, 전도 부치지 않아도 된다는 방안을 내놓았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했다. 성균관 표준안에 따르면 추석 차례상의 기본 음식은 송편과 나물, 구이(적·炙), 김치(백김치 류), 과일, 술 등 6가지다.
여기에 조금 더 올린다면 육류와 생선, 떡 정도를 추가할 수 있다. 밥과 국도 따로 올리지 않아도 된다. 위원회는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도 차례상에 꼭 올릴 필요가 없다”며 “이런 상차림도 가족이 합의해 (더 줄이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홍동백서(紅東白西)’처럼 차례상에 음식 놓는 예법도 따를 필요가 없다. 실제로 붉은 과일은 동쪽에 놓고 흰 과일은 서쪽에 놓으라는 홍동백서나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를 뜻하는 조율이시(棗栗梨柿) 등은 옛 문헌에 존재하지 않았다고 한다.
사당이 없는 일반 가정은 보통 지방(紙榜·종이에 써서 모신 신위)을 올리고 기제사나 차례를 지냈으나 이 역시 바꿀 수 있다. 모시는 분의 사진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위원회는 “집안마다 차례가 먼저인지 성묘가 먼저인지를 따지기도 하는데, 이 역시 가족끼리 의논해 정해도 된다”고 덧붙였다.
최영갑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은 “잘못된 의례문화가 명절증후군이나 명절 뒤 이혼율 증가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관행처럼 내려오던 예법을 바꾸지 못했다”며 “이번 차례상 표준안이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성별 및 세대 갈등을 해결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