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동아일보 신춘문예’ 예심
작년보다 816편 많은 6970편 응모
중편소설, SF장르 작품 늘고 詩는 재난상황 배경 쏟아져
단편소설 13편 등 97편 본심 올라
“경기 불황과 이태원 핼러윈 참사 등의 여파인지 삶의 고달픔과 슬픔을 담은 응모작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일련의 위기에도 끝까지 희망을 잃지 않으려 하는 응모자들의 의지가 돋보였다.”
8일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에서 열린 ‘2023 동아일보 신춘문예’ 예심에 참여한 심사위원들은 힘들었던 2022년의 심리가 응모작에 많이 반영됐다고 총평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3년 가까이 이어졌고, 다사다난한 사건이 여럿 발생한 영향이 엿보인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문학을 등불 삼아 희망을 포기하지 않은 긍정적인 작품이 많았다”고 입을 모았다.
올해 9개 모집 부문에 걸쳐 응모작은 총 6970편이다. 삶의 고통을 문학이 지닌 힘에 기대 극복하려는 열망이 반영됐는지 응모작은 지난해보다 816편이 늘어났다. 세부적으로는 중편소설 236편과 단편소설 685편, 시 5064편, 시조 529편, 희곡 75편, 동화 275편, 시나리오 48편, 문학평론 27편, 영화평론 31편이었다.
중편소설 부문은 공상과학(SF) 장르의 작품이 많았다. 최근 문학·출판계의 흐름을 반영한 현상으로 신춘문예 응모작이 다양한 방식으로 폭넓어지는 모양새다. 정한아 소설가는 “인공지능(AI)이 급속도로 발달한 미래, 실존 인물이 아닌 소프트웨어로 만든 가상 인간인 ‘버추얼 휴먼’이 등장하는 소설들이 눈에 띄었다”며 “바이러스와 전염병이 창궐하는 미래를 그린 작품처럼 팬데믹 현상을 심도 있게 해석한 SF 작품도 있었다”고 전했다.
단편소설 부문에선 현 세태에 대한 날카로운 포착이 두드러졌다. 주거불안에 시달리는 청년이나 오토바이를 몰며 배달 다니는 노동자 등 힘겨운 삶의 자락을 다룬 작품이 상당했다. 김성중 소설가는 “‘갓생’(God+生·훌륭한 인생)으로 성실하게 지내다가 ‘번아웃’에 빠져 모든 것을 포기하는 청년의 자화상을 담은 작품도 눈에 띄었다”며 “혼란스러운 사건들이 많았던 올해의 사회적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시 부문에서는 재난 상황이 배경인 작품이 유난히 많았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를 은유적으로 다루거나, 가상의 재난을 가정해 상상력을 발휘한 작품도 있었다. 오은 시인은 “재난을 주관적 감정이 아닌 객관적 시각에서 보여주려는 시도를 담은 시들이 많았다”며 “현실 문제를 가상에서 다뤄 문학적 효과를 극대화하려 노력한 실험적 작품들에 눈길이 갔다”고 말했다.
시나리오 부문은 ‘대체역사’ 장르의 작품들이 쏟아졌다. 응모자들은 ‘만약 역사가 기존 사실과 다르게 전개됐다면 어떻게 되었을까’라는 가정 아래 흥미로운 상상력을 펼쳐냈다. 조정준 대표는 “이 밖에도 가족의 해체나 청년의 방황을 담은 작품들도 인상적”이라며 “소재가 이색적이면서도 작품성이 탄탄한 응모작이 많아 어떤 당선작이 나올지 기대된다”고 했다.
이날 예심 결과 △중편소설 11편(11명) △단편소설 13편(13명) △시 65편(12명) △시나리오 8편(8명)이 본심에 올랐다. 시조 희곡 동화 문학평론 영화평론은 예심 없이 본심에서 당선작을 정한다. 당선자에게는 이달 말 개별 통보하며, 당선작은 동아일보 내년 1월 2일자 지면에 소개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