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록달록한 무늬가 눈에 띄는 신비로운 풍경을 배경으로 한 여성이 우두커니 서 있다. 부엌칼과 배추김치가 그려진 외투를 두르고 뿔소라를 투구처럼 뒤집어쓴 여성은 관객을 정면으로 바라본다. 한국계 캐나다인 작가 제이디 차(차유미·40)의 자화상 ‘귀향’이다. 캐나다에서 태어난 그가 서울에서 처음 선보이는 작품이다. 차 씨는 “이 작품을 통해 자신 있고 당당한 모습을 한국 관객들에게 보여주고 싶다”고 했다.
차 씨는 다음 달 25일까지 서울 용산구 타데우스 로팍에서 열리는 그룹전 ‘지금 우리의 신화’에 참여 중이다. 이번 전시는 세계적 화랑 타데우스 로팍이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첫 단체전이다. 차 씨는 전시에서 ‘귀향’을 비롯한 회화 3점과 텍스타일(천) 조각 3점 등 총 6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영국 런던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그는 2019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마고할미’ 퍼포먼스로 글로벌 미술계의 눈도장을 받았다. 지난해 하우저앤드워스 뉴욕 갤러리 그룹전에 참가했고, 현재 런던 공공미술관 화이트채플에선 한옥을 모티프로 한 설치 작품을 전시 중이다.
전시장에서 6일 만난 차 씨는 그림 속 강렬한 모습과 달리 긴장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창작의 영감이 된 ‘마고할미’ 얘기가 나오자 신이 난 듯 이야기를 이어갔다. 그는 “신화 속 마고할미는 오줌과 대변으로 강과 산을 만든다”며 “사회에서 종종 무시당하는 할머니를 마고할미 신화는 강력한 존재로 그려내 흥미로웠다”고 했다.
마고할미는 한국 민속 신앙 속 창조신으로, 일부 지역에선 마고산성, 마고할미 폭포 등 전설과 관련된 장소가 여전히 존재한다. 다만 민속 신앙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차 씨는 이렇게 주류에서 밀려났지만 가치 있는 것들을 자신만의 시각 언어로 재해석한다.
런던과 서울 전시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조각보도 같은 맥락이다. 그는 “주류 미술사에 익숙한 사람은 몬드리안을 떠올리지만, 내가 영감을 받은 건 한국의 이름 모를 여인들”이라고 했다. 사각형 색면으로 된 형태의 근원이 서구 추상화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오히려 그는 아주 오래전부터 엄마가 딸에게, 그 딸이 또 딸에게 말과 손으로 전해준 예술로서 조각보의 가치를 끌어온다.
이런 작품 스타일은 결국 그의 예술적 생존 방식이기도 하다. 차 씨는 “내 작품을 서양인은 동양적이라고, 한국인은 서양적이라고 느껴 흥미롭다”고 말한다. 그는 너무 다른 두 문화 사이에서 기존의 틀에 자신을 억지로 끼워 맞추는 것을 거부해 왔다. 그리고 조각보, 마고할미 등 틀에서 밀려난 것들을 모아 자신의 무기로 만들었다. 무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