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바라볼 때, 한국 선수가 올림픽 금메달을 땄을 때, 유명 예술 작품을 마주했을 때 등 감동적 경험으로 소름이 돋거나 눈물을 흘려본 일이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거창한 순간이 아니더라도 좋아하는 음악을 듣거나 맛있는 음식을 먹는 일상에서도 크고 작은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순간은 생각보다 다양하다.
감동적인 순간에 행복감을 느끼는 것은 어쩌면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감동은 단지 기분이 좋아지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 해외 심리학 연구에서는 경이로움을 뜻하는 영어 단어 ‘awe’를 사용한다. 학술적 정의로는 잔잔한 마음의 울림부터 감격, 환희, 황홀함 같은 풍부한 감정을 포함해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큰 깨달음이 일어나는 경험 등 다양한 경우를 포함한다. 그동안 학계에서 이뤄진 여러 연구를 통해 감동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스트레스 낮추고 행복감 높이는 효과
심리학에서 감동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불과 20여 년 정도다. 다만 앞서 미국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우가 ‘절정 경험(peak experience)’이라는 개념을 통해 감동과 유사한 감정의 특징을 정의했다. 그는 1964년 저서 ‘종교, 가치 그리고 절정 경험’에서 인간이 정서적인 절정을 경험할 때 △시공간에 대한 감각이 무뎌지고 △자신의 문제에 덜 사로잡히게 되며 △겸손해지고 △세상을 선하게 바라보며 △행복감을 느낀다고 했다.
2000년대 들어 과학적 연구를 통해 이러한 효과가 하나 둘 입증되기 시작했다. 2015년 제니퍼 스텔라 캐나다 토론토대 심리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감동적 경험을 많이 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체내 염증 수치와 관련 있는 단백질 물질인 인터류킨 수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감동적 경험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분비를 저하하고, 즐거움을 느끼는 호르몬인 도파민 분비를 촉진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체내 염증 수치가 높아질 수 있는데, 감동적 경험을 통해 스트레스와 염증을 모두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자기 비하를 멈추게 하는 힘
감동은 자기를 비판하고 부정적인 감정에 몰두하도록 만드는 뇌의 영역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난해 미국심리학회지에 실린 ‘경외감의 신경 표현: 일반적이고 뚜렷한 신경 메커니즘의 구별’ 연구에서는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통해 감동적인 영상을 볼 때 뇌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분석했다.
영상의 내용은 아름다운 자연, 종교적 경험, 존경할 만한 리더의 모습 등 다양한 차원의 감동적 상황을 포함했다. 뇌 활동 비교를 위해 즐거움과 공포를 유발하는 영상도 각각 보여줬다. 관찰 결과 감동적인 영상을 시청할 때 자신을 비하하고 비판적으로 느끼게 하는 뇌의 왼쪽 중간 측두회(middle temporal gyrus)의 활성화 수준이 다른 영상을 시청할 때보다 낮아졌다. 감동을 느낄 때 자기 자신을 좀 더 너그럽고,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걱정과 고민이 사소해 보일 수 있다
감동의 또 다른 놀라운 효과는 자기 자신을 거대한 세상에 속하는 작은 존재로 인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심리학과 연구팀은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연구팀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요세미티국립공원과 해안 선착장 관광지인 ‘피셔맨스 워프’를 방문한 관광객 1178명을 대상으로 현재 자신의 존재가 어느 정도 크기로 인식되는지를 조사했다.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한 요세미티국립공원은 감동받을 만한 자연 풍경을 의미하고, 피셔맨스 워프는 즐거움을 느끼는 장소라는 의미를 갖는다.
연구팀은 관광객들에게 같은 크기의 태양과 잔디가 그려진 종이를 준 뒤 현재 자신의 모습을 그리게 했다. 그 결과 국립공원을 찾은 관광객(633명)이 종이에 그린 자신의 평균 크기는 선착장 관광지를 찾은 관광객(545명)의 평균보다 33% 정도 작았다. 이는 조사에 응한 북미, 유럽, 아시아 관광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감동의 이런 효과는 자신의 문제에만 매몰되기 보다는 시선을 밖으로 돌려 주변을 돌아보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연대하며, 이타적인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20년간 감동이 몸과 마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해온 대커 캘트너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심리학과 교수는 지난달 펴낸 저서 ‘Awe(경외감)’에서 “경외감은 타인과 경계를 무너뜨려 다른 이들을 위해 희생하도록 만드는 경향이 있다”며 “우리의 본성이 개인주의나 물질주의가 아니라 집단주의를 지향한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고 강조했다.
대자연에서만 감동을 느낄 수 있을까?
그렇다면 감동을 느끼기 위해 매일 자연으로 나가야 할까? 어느 정도 정도 효과는 있겠지만, 자연보다 더 많은 감동을 느끼는 대상은 따로 있다. 바로 사람이다. 타인에게서 배려, 용기, 강인함, 도덕성, 존경할만한 품성 등을 목격했을 때 감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캐틀러 교수는 “전 세계 사람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감동을 받는 순간은 자연이나 영적인 경험을 할 때가 아니었다”며 “다른 사람의 용기, 친절, 강인함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2017년 미국 심리학회지에 실린 한 연구를 보면 실험 참가자들이 느낀 감동의 절반 이상은 타인으로부터 온 것이었다. 미국과 중국 대학생 각 83명에게 2주 간 하루에 한 번씩 △자연 △타인(대인 관계) △자신 △음악 △건축물 △영적 경험 △지식이나 기술 △예술작품 등에서 감동이나 기쁨을 느낀 경험에 대해 기록하게 했다.
2283개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중국인과 미국인 모두 대인 관계에서 감동 받은 경우가 각각 63%, 4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자연은 중국인과 미국인 각각 7%, 12% 정도였다. 흥미로운 점은 스스로에게 감동을 경험한 비율은 미국인의 경우 8%에 달했지만 중국인은 0.4% 정도였다는 것이다. 서양의 개인주의와 동양의 집단주의 문화에 따라 감동을 받고 기쁨을 느끼는 지점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감동도 연습이 필요하다
감동은 노력하면 더 많이 느낄 수 있다. 사람마다 감동을 느끼는 순간은 각자 다르기 때문에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본다면 더욱 좋다. 산책하다 미처 보지 못했던 소소한 아름다움을 발견하며 감탄하거나, 평소 존경하는 인물의 책이나 강연을 찾아 보는 것도 좋은 노력이 될 수 있다. 무엇이든 자신만의 방법으로 소소한 감동거리를 찾아보며 잠깐 휴식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하루에 10분씩만 투자해 감동을 ‘주입’한다면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을 때보다 조금은 더 행복할 수 있지 않을까.
감동 훈련법
·스마트폰 끄고 산책하기 ·일상에서 발견한 아름다운 것들 사진 찍기 ·하루에 한 번 하늘 보기 ·저명한 학자, 지도자의 강연·연설 영상보기 ·크고 작은 감동 경험 기록하기 ·가치관을 넓힐 수 있는 책 읽기 ·타인과 영웅담이나 미담 공유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