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많은 유물 대신 선택과 집중 통해 깊이있게 소개”
리모델링 후 관람객 발길 이어져
경주박물관 불교실은 70점 추려… 디지털 영상 입혀 유물 설명도
“박물관의 목표가 바뀌었습니다. 이전에는 많은 유물을 선보이는 것이었다면 이제는 단 한 점의 유물이라도 관람객의 마음에 남기는 겁니다.”
2020년부터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기증실 재개관 프로젝트를 맡은 이원진 학예연구사의 말이다. 그의 말대로 박물관은 기증 유물 5만여 점 가운데 1408점을 한꺼번에 전시했던 이전 기증실을 완전히 바꿨다.
지난해 12월 16일 새로 단장한 기증Ⅰ실 오른쪽에 마련된 144㎡(약 43평) 규모 독립 공간에는 단 한 점, 보물 ‘손기정 기증 청동투구’가 놓여 있다. 사방이 어두운 가운데 유물을 비추는 조명만이 반짝인다. 벽면은 손기정 선생(1912∼2002)이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하며 부상으로 받은 그리스 청동 투구가 1986년 고국으로 돌아오기까지의 여정을 소개한 글로 채워져 있다. 많은 유물을 전시해 각각의 유물을 집중 조명할 수 없었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을 한 것. 리모델링 전에는 관람객에게 주목받지 못했던 이곳이 이제는 관람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명소가 됐다.
상설전시실의 변화는 2, 3년 전부터 시작됐다. 개관한 지 10년이 넘은 노후 상설전시실을 새로 단장하면서 높아진 관람객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는 전시법을 고민하기 시작한 것. 이 과정에서 전시 유물을 줄이는 대신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상설전시실의 명품화’가 이뤄졌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21년 3월 ‘분청사기 백자실’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사유의 방’ ‘청자실’ ‘기증실’을 전면 리모델링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경주박물관도 지난해 12월 ‘불교조각실’을 새로 단장하면서 동선을 없앴다. 기존 유물 137점 가운데 절반을 들어내 새 전시실에 70점만 추렸더니 불상을 전시실 군데군데 배치할 여유가 생겼다. 박아연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관람객에게 동선을 강요하는 게 아니라 관람객이 유물을 선택해 볼 수 있는 구조로 만들었다”고 했다. 그는 “과거에는 특별전시가 박물관의 주력이었다면 이제는 상설전시실 재개관이 주력”이라고 덧붙였다.
유물 뒤편도 공개했다. 177cm 크기의 국보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은 국립경주박물관의 옛 전시실에서는 벽면에 딱 붙은 채 전시돼 뒷면을 볼 수 없었다. 새로 단장한 불교조각실에서는 불상 주위를 거닐며 뒤태를 볼 수 있다. 조효식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관람객이 불상 뒷면을 보며 어디에 놓여 있었는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상상해 보길 바랐다”며 “구석구석을 보면서 관람객 스스로 유물의 진면목을 발견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지난해 12월 27일 ‘과학문화실’을 전면 리모델링하면서 국보 ‘천상분야열차지도 각석’에 디지털 매핑(물체 표면에 그래픽을 입히는 작업)을 시도했다. 김충배 국립고궁박물관 전시기획과장은 “각석 표면에 1467개의 별이 새겨져 있지만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았다”며 “유물 표면 위에 실감 영상을 띄워 유물의 진가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한 것이 상설전시실을 개편한 이유”라고 말했다.
미술관 전시 디자인 작업에 여러 차례 참여한 이세영 논스탠다드 스튜디오 대표는 “상설전시야말로 박물관의 근본”이라며 “유료로 운영되는 기획전시실뿐 아니라 무료로 운영되는 상설전시실의 품격이 향상되고 있다는 건 그만큼 관람객의 영향력과 안목이 높아졌다는 뜻”이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