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 유지, 실록에 없는 내용 담겨… 임진왜란史 공백 채워줄 사료 평가
우금치 전투 담긴 문중 전적도 완역
문화재청 원문-국역본 내년 공개
“당대 시대상 담겨… 후속 연구 토대”
“적의 동태를 명나라 병부시랑 송응창과 상의해 신속히 군사를 진격시킬 계책을 만들라. 경은 장수들을 지휘하여 관병과 의병을 별도로 정돈해 두었다가 적들이 아직 상륙하지 않았다면 수군을 데리고 건너온 적선을 쳐부수고, 적들이 이미 상륙하였다면 정예병을 거느리고 협력하여 요격하라.”
임진왜란이 벌어지던 1593년 4월 18일, 선조가 영의정이자 도체찰사(都體察使·조선시대 전시 최고 군직)였던 서애 류성룡(1542∼1607)에게 내린 유지(有旨) 내용이다. 두 달 전 전라도 관찰사 권율(1537∼1599)이 행주산성에서 왜적을 물리쳤지만 주변에서 그를 돕겠다고 나선 장수들은 없었다. 아군이 전장에서 도망치고 있다는 보고가 잇따르는데, 왜적의 세력은 더욱 불어나던 풍전등화 같은 상황. 선조는 류성룡에게 관병과 의병을 동원해 왜선을 선제공격하라는 명령을 이같이 내렸다.
● “임란 당시 조정의 대응책 상세히 나와”
1592∼1607년 선조가 류성룡에게 내린 유지 76건과 유서(諭書·왕이 군사권을 가진 관원에게 내린 명령서) 1건 등 총 77건을 엮은 보물 ‘유성룡 종가 문적―유지’ 2책이 처음으로 국역됐다. 문화재청과 성균관대 유학대학(학장 김동민)은 2018년부터 ‘중요기록유산 국역 사업’을 통해 보물로 지정된 고문헌 30종(총 1075책 186만9374자)을 국역했다. 이 사업을 통해 종가가 소장해 일반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이 사료가 우리말로 옮겨진 것.
류성룡에게 내려진 유지에는 조선왕조실록에는 없는 조정의 대응책이 상세하게 담겨 임진왜란 역사 연구의 공백을 채울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급증한 왜선에 대한 대응책이 담긴 1593년 4월 18일자 유지에는 이전까지의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조정의 대응 사례가 담겼다. 하루 전인 1593년 4월 17일 실록에는 “왜적이 금년 봄에 병력을 증파하는 일에 대해 누군들 염려하지 않겠는가. 비변사(備邊司)에 일러 조처를 강구하게 하라”고만 기록돼 있다. 류성룡이 남긴 ‘징비록’과 ‘서애집’에도 자세한 얘기는 안 나온다.
이 밖에도 유지에는 군량 보급 대책, 명나라에 대한 원병 요청, 포로 송환 논의와 관련해 실록 등에는 요약돼 나와 있는 대책을 구체적으로 전하고 있다. ‘난중일기’를 완역한 노승석 동국대 여해연구소 학술위원장은 “이 사료를 통해 임란 당시 조정의 전술과 이에 따른 성패를 다시 분석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무능한 왕으로 여겨졌던 선조에 대한 평면적인 평가를 뒤집는 입체적인 인물사를 구성해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선조실록을 포함한 중앙 관찬 사료에는 기록되지 않았던 선조의 감정도 유지 속에 드러난다. 1593년 3월 25일 선조가 류성룡에게 보낸 유지에는 “명나라 장수가 왜적과 강화를 이미 결정했다고 하니 울음을 참을 수가 없다”고 기록됐다. 당시 선조실록에는 ‘명나라 사신 심유경(?∼1597)이 왜장과 강화를 맺어 4월 8일까지 군사를 물리겠다고 했다’고만 적혀 있다. 그러나 유지에는 명군의 협조를 이끌어내려던 전략이 실패한 뒤 선조의 울분이 생생하게 담긴 것이다.
● 우금치 전투 묘사한 문중 전적도 번역
1894년 동학농민군이 조선과 일본 연합군에 항거했던 우금치 전투가 담긴 ‘함양박씨 정랑공파 문중 전적―나암수록(羅巖隨錄)’도 이번 사업을 통해 처음 완역됐다. 유학자 박주대(1836∼1912)가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를 총 4책으로 기록한 이 사료에는 당시 조선 관군으로부터 전해 들은 전시 상황이 묘사돼 있다. 1894년 11월 3일자에는 “적병(동학농민군)이 고개를 넘으려 하면 일제히 총을 40, 50차례 발사하니 (적병의) 시체가 쌓여 산에 가득했다”고 나온다. 공정권 성균관대 유학대학 책임연구원은 “동학농민봉기를 바라본 유학자의 시선 등 당대 격변기 사회상이 담겼다”고 말했다.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청나라 학자의 편지글을 필사한 보물 ‘김정희 종가 유물―척독초본(尺牘鈔本)’과 현종의 셋째 딸 명안공주(1667∼1687)가 왕실과 주고받은 편지 등이 포함된 보물 ‘명안공주 관련 유물’도 국역됐다. 정제규 문화재청 유형문화재과 전문위원은 “당대 사회상을 진솔하게 담고 있는 기록물에 대한 후속 연구의 토대가 마련됐다는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역된 사료 30종의 원문과 국역본을 내년에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에 공개할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