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향기]
사회성 극도로 발달된 행태… 개미-벌 등에게서 흔히 발견
사회 존속 위해 타인의 출산 도운 초창기 인류 ‘할머니 도우미’ 존재
“인류를 우세종 만든 것은 이타심”
◇새로운 창세기/에드워드 윌슨 지음·김성한 옮김/168쪽·1만8500원·사이언스북스
불개미는 개인이 아니라 집단을 위해 살아간다. 일개미들은 평소엔 번식에 특화된 여왕개미들을 부양하기 위해 열심히 일한다. 하지만 어느 때가 되면 일개미는 여왕개미를 극소수만 남기고 하나씩 제거한다. 일개미는 여왕개미의 다리를 활짝 펴게 해놓고 찔러 죽인다. 제거되는 여왕개미 중엔 일개미의 어미도 있지만 상관하지 않는다. 눈물을 머금고(?) 집단을 위해 잔혹한 선택을 내리는 것이다. 이후 살아남은 여왕개미가 알을 낳으면 일개미는 다시 새끼를 부양하기 위해 일을 시작한다.
‘다윈의 가장 위대한 20세기 후계자’로 불리는 미국 사회생물학자인 저자(1929∼2021)는 불개미의 이런 행태를 ‘진사회성(眞社會性)’이란 개념으로 해석한다. 진사회성은 사회성이 극도에 달해 높은 수준의 협력과 분업이 이루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개체보다 집단을 중시하는 사회성이 극단적으로 높아진 것이다. 이 때문에 일개미는 부양에, 여왕개미는 번식에 집중하면서 사회를 효율적으로 운영한다.
저자가 진사회성에 주목하게 된 건 인류 때문이다. 초창기 인류가 처음 지구에 등장했을 때 인류의 생물량은 전체 동물 중 10%도 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 인류와 인류가 길들인 가축의 생물량을 모두 합하면 전체의 99%에 이른다. 다른 어떤 동물도 아닌 인류가 지구에 큰 영향력을 미치게 된 건 사회성이 극도에 달한 ‘진사회성’이 높기 때문이라는 게 저자의 해석이다.
예를 들어 초창기 인류의 여러 집단에선 여성이 아이를 낳아 기를 때 출산과 육아를 돕는 ‘할머니 도우미’를 찾아볼 수 있다. 할머니 도우미 자신은 이미 폐경 후라 아이를 낳을 수 없지만 선의로 육아를 돕는다. 자신의 번식에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사회에 도움이 된다면 기꺼이 동참하는 것이다. 그 덕에 인류가 홀로 새끼를 키우는 동물보다 더 효율적으로 아이를 키울 수 있게 됐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집단의 이익에 도움이 될 경우 일부 개체가 집단을 위해 이타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집단 선택’ 이론도 진사회성에 힘을 실어주는 근거로 사용된다.
동물의 사회성은 여러 단계에 걸쳐 진사회성으로 나아간다. 사회성이 낮은 벌은 침을 쏘아 먹이를 잡은 뒤 먹이에 알을 낳는다. 이어 새끼가 태어나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그대로 놔둔다. 사회성이 발달하면 벌은 침을 쏘아 먹이를 잡은 뒤 이를 보금자리로 옮긴다. 이어 보금자리로 계속 기절한 먹이를 배달한다. 사회성이 극도에 달하면 벌은 어미와 딸이 군락을 이루며 산다. 딸들은 먹이를 잡아서 어미에게 배달한다. 딸이 일꾼, 어미는 여왕으로 역할을 나눌 정도가 되면 진사회성 집단이라고 부른다.
저자는 ‘인간 본성에 대하여’(1978년)와 ‘개미’(1990년)로 각각 1979년, 1991년에 두 차례 퓰리처상을 받았다. 그의 주장은 개체가 각자 이기적인 선택을 내리고, 이 경쟁을 통해 번식과 유전이 이뤄진다는 진화론의 일반적 주장과는 결이 다르다. 인류사를 돌아보면 정말 저자의 말대로 인류가 이타적인지, 집단을 위해 희생하는 걸 두려워하지 않는지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그러나 이타심을 바탕으로 한 진사회성이 인류의 성공 비결이었다면 앞으로 인류가 나아갈 길도 이기심보단 이타심에 있는 것 아닐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