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원도시 계획들, 문제 인식과 도전 과제 미흡”[김선미의 시크릿가든]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9월 3일 08시 00분


지난달 28일 국립세종수목원 대강당에서 열린 ‘2024 정원도시 정책포럼’. 세종=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지난달 28일 국립세종수목원 대강당에서 열린 ‘2024 정원도시 정책포럼’. 세종=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가히 ‘정원도시 열풍’이다. 정원도시를 만들겠다고 천명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가 무려 14곳이다. 지역소멸을 우려하는 지자체들이 정원을 통해 경제 활성화를 모색하면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이다. 하지만 정원도시의 정의와 역할 개념은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한 상황이다.

건축공간연구원과 산림청이 지난달 28일 국립세종수목원에서 개최한 ‘2024 정원도시 정책포럼: 국내 정원도시 정책 및 계획 현황과 발전 방향’은 이런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자리였다. 정원 공간을 확충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각 도시의 특수성을 반영해 시민을 참여시키는 녹색 인프라가 돼야 한다는 주장들이 나왔다.

● “시민 참여와 부처 협력 필요”

현재 국내 정원 정책 주무 부처는 산림청이다. 발제자로 나선 김석문 산림청 수목원정원정책과장은 “정원과 관련된 인프라 기반을 마련하고, 그 인프라를 활용해 자연 친밀과 공존, 포용과 평등, 참여와 공유를 구현하는 도시를 정원도시 개념으로 삼고 있다”며 “이를 근거로 정원도시 조성 및 지정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정원도시 운영의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서울시와 강원 정선군의 정원도시 업무 담당자들은 각 지자체의 정책 추진현황을 발표했다.

박수미 서울시 정원도시국 공원녹지기획팀장이 ‘정원도시 서울 정책 추진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세종=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박수미 서울시 정원도시국 공원녹지기획팀장이 ‘정원도시 서울 정책 추진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세종=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토론의 좌장을 맡은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세계 어떤 나라도 한국과 같이 이토록 빠른 속도로 정원 열풍이 일었던 적은 없다”며 “우리가 잘 달려가고 있는지 돌아보면서 앞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해볼 때”라고 운을 뗐다.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세종=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토론자로 나선 김인호 생명의숲연구소 소장은 정원의 특성인 ‘개방성’과 ‘유연성’에서 정원도시의 해답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소장은 “정원 정책이 법률과 행정의 단어에 갇혀서는 시민과 호흡할 수 없다”며 “체계적 교육과 실습으로 양성된 시민 정원사들이 일상에서 정원도시를 가꾸는 역할을 찾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인호 생명의숲연구소 소장. 세종=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김인호 생명의숲연구소 소장. 세종=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박희성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도 “정원도시는 도시계획이나 조경 어느 한쪽으로만 접근해서는 안 되고, 미래 세대가 어릴 때부터 땅과 친해질 수 있게 해야 지속 가능한 정원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수환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정원진흥실장은 “정원도시 인프라 구축은 개별 부처의 영역을 넘어서는 부분이 많아 여러 부처가 협력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수환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정원진흥실장. 세종=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남수환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정원진흥실장. 세종=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 “지역 특성 고려해 방향 수립해야”

이날 포럼에는 각 지자체의 정원 정책 관련 공무원들이 여럿 모였다. 충북 충주시 관계자는 “충주시는 일자리를 늘릴 수 있는 산업단지를 만드느라 민둥산이 늘었다”며 “‘이제는 (무분별한 자연 훼손을) 멈출 때’라며 국가 정원을 만들기로 했지만, 정작 지역에서 일할 총괄 조경가를 찾기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원도시 관련 인프라뿐 아니라 정원 전문가로 육성되는 분들이 각각 지역의 일자리로 찾아갈 수 있도록 국가적 시스템이 마련됐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아직 정원도시 개념을 잡지 못한 상태에서 어떻게 시민들과 함께 정원 문화를 만들 것인지가 가장 큰 고민”이라고 토로했다.

김용국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위원이 국내 정원도시 계획의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발표하고 있다. 세종=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김용국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위원이 국내 정원도시 계획의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발표하고 있다. 세종=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건축공간연구원은 “국내 정원도시 정책과 계획들은 정원을 통해 해결하려는 문제 인식과 도전 과제 설정이 미흡하고 구성도 단편적”이라고 진단한다. 김용국 연구위원은 “독일은 낙후된 도시를 개발시키려는 목적의 정원박람회를 통해, 싱가포르는 공동체 가드닝 활동을 통해 정원도시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국내 지자체들도 각 지역 특성을 고려해 기후 위기 완화, 심신 건강 증진, 생물 다양성 강화, 탄소 중립 산업체계 구축 등 정원도시로 가기 위한 방향과 성과지표부터 촘촘히 짜야 한다”고 말했다.



#정원 도시#정원 정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