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와 함께하는 제19회 서울국제음악콩쿠르
서울국제음악콩쿠르 피아노 심사… 주희성-손민수 교수 인터뷰
주희성 서울대 교수
“틀에 박힌 연주로는 감동 못줘… 젊은 연주자들 자신 표현 잘해”
손민수 뉴잉글랜드음악원 교수
“성공 위한 압박 시달리지 말고, 폭풍속에도 음악하는 법 배워야”
“연주자가 자기만의 소리를 빚어내는 순간을 기다려요. 그땐 심사 기준이라는 틀 안에서 계량할 수 없죠. 선율에 빨려 들어가 즐기는 수밖에요.”
올해 피아노 부문으로 열리는 ‘LG와 함께하는 제19회 서울국제음악콩쿠르’에서 심사위원장을 맡은 주희성 서울대 음대 교수(55)와 심사위원으로 참가한 손민수 뉴잉글랜드음악원(NEC) 교수(48)가 말했다. 3일 서울 서초구 서울교대 종합문화관에서 만난 두 사람은 1∼3일 사흘에 걸친 1차 예선 심사에도 피곤한 기색을 띠지 않았다. 그 대신 따스함과 냉철함이 모두 묻어나는 미소로 “젊은 연주자들의 다채로운 색깔을 느낄 수 있어 좋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경연에는 대중에게도 친숙한 쇼팽의 ‘발라드 1번’부터 콩쿠르에서 잘 등장하지 않는 슈만의 ‘아베크 변주곡’까지 폭넓은 레퍼토리가 펼쳐졌다. 예년과 비교해 개성 있는 연주자가 많아진 것이다. 콩쿠르 심사 경력 22년 차인 주 교수는 “선생님에게 배운 대로 치던 우리 때와 달리 자기 자신을 표현할 줄 아는 시대적 변화가 반영됐다”고 말했다. 피아니스트 임윤찬의 스승으로 잘 알려진 손 교수는 “연주자들의 전반적인 기량과 무대 경험치가 높아지면서 틀에 박힌 연주로는 더 이상 감동을 줄 수 없음을 체득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오늘날 한국과 미국 최고의 음대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두 심사위원에게 콩쿠르에 도전하던 과거 시절은 여전히 생생하게 다가온다. 1990년대 NEC 재학 시절 석사생과 학부생으로 처음 만난 두 사람은 ‘건반 위의 철학자’ 러셀 셔먼(1930∼2023), 피아니스트 변화경에게 가르침을 받으면서 나란히 성장했다. 손 교수는 “(주 교수는) 가장 의지하고 따르는 누나였다. 음악적 고민이 있으면 조언을 구했고, 아플 때 집에서 죽을 끓여 주시던 기억은 지금도 선명하다”고 회상했다. 주 교수는 “그때부터 음악성이 돋보이는 후배였다”며 웃었다.
그렇게 서로 의지하면서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던 콩쿠르를 넘었다. 숱하게 평가받고, 또 평가해본 이들이 깨달은 점은 “콩쿠르가 단지 연주 활동을 넓히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는 것”. 주 교수는 스물두 살의 나이로 제31회 동아음악콩쿠르에서 우승한 뒤 겪은 커리어 변화를 되짚었다. “국내 최고의 콩쿠르였기에 이름을 알렸고, 협연 기회도 늘었죠. 그러나 돌이켜 보면 수상 여부와 무관하게 콩쿠르는 ‘자기 발전’을 안겨줬어요. 고배를 마신 기억이 자신을 잃게 내버려둬선 안 됩니다. 압박감을 내려놓고 무대 위에서 음악과 내가 온전히 하나 되는 데 집중해야 해요.”
손 교수에게 콩쿠르란 “음악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 길목”이다. 어떤 음악을 할 것이고, 왜 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시간이 돼서다. “젊은 연주자는 음악으로 성공해야겠단 압박에 시달리곤 해요. 저 역시 그 딜레마를 오래 안고 살았고요. 하지만 음악을 한다는 건 인생의 실마리를 찾는 일이에요. 그 어떤 폭풍이 몰아친대도 내 음악과 함께 차분히 걸어가는 법을 알게 된다면 아름답고 값진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LG와 함께하는 제19회 서울국제음악콩쿠르’는 5∼7일 2차 예선, 9∼10일 준결선, 12∼13일 결선 경연과 시상식으로 이어진다. 2차 예선과 준결선은 오후 1시 서울교대 종합문화관에서, 결선은 서울 종로구 서울아트센터 도암홀에서 12일 오후 7시와 13일 오후 2시 반에 시작된다. 시상식은 결선이 끝난 뒤 같은 장소에서 13일 오후 5시 반에 열린다. 2차 예선과 준결선 1만 원, 결선 전석 3만 원. 02-361-1415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