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추석 대비 코레일 0.6%, SRT 1.65% 감소 그쳐
윤종군 의원 “평시 주말에도 위약금 높여야”
설 명절을 앞둔 24일 오전 서울 용산역에서 귀성객들이 목포행 KTX 열차를 타고 있다. 2025.1.24뉴스1
이번 설 명절 열차 승차권 환불 위약금이 높아졌지만 노쇼(예약부도)로 인한 승차권 미판매율 감소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약금을 더 높이거나 상습적 노쇼에 대한 제재 강화 목소리가 나온다.
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종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SR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번 설 명절 기간 노쇼 비중은 직전 명절인 지난해 추석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설 명절기간 위약금 최대 2배 늘렸지만 4.3% 노쇼 티켓
코레일은 이번 설에 총 737만 4819장의 승차권(KTX 등 모든 열차 포함)을 발매했으며 그중 31만 7236장이 환불 후 판매되지 못해 노쇼 좌석으로 잡혔다. 전체 발매 대비 4.3%가 노쇼 좌석이다.
직전 명절인 지난해 추석에는 총 500만 1415장이 발매됐고, 그중 24만 5651장이 환불 후 판매되지 못했다. 비율로는 4.9%였다.
코레일은 이번 설 명절 기간 열흘(1월 24일~2월 2일) 동안 승차권 환불 위약금을 기존보다 최대 2배 늘렸다.
열차 출발 시각 기준으로 2일 전까지는 최저위약금 400원이 적용됐으며 1일 전은 영수 금액의 5%까지, 당일 3시간 전까지는 10%(기존 5%)를 적용했다. 3시간 전 이후부터 출발 시각 전까지는 20%(기존 10%), 출발 후 20분까지는 30%(기존 15%)의 위약금을 받았다.
이를테면 서울~부산 구간 KTX 일반석을 기준으로 출발 3시간 이내에 환불하는 경우 기존에는 5만 9800원의 10%인 6000원을 위약금으로 수수했으나 설 특별 수송기간 승차권은 1만 2000원을 내야 한다.
강화된 조치에도 직전 명절이던 추석보다 노쇼 좌석 비중은 0.6% 감소하는 데 그쳤다.
SRT를 운영하는 SR은 설 총 55만 6780장의 승차권을 발매했고, 그중 2만 3005장이 노쇼 좌석이 됐다. 발매 승차권 대비 노쇼 좌석 비중은 4.13%다. 직전 명절인 추석에는 총 35만 2190장이 팔렸으며, 그중 노쇼 좌석은 2만 467장으로 비중은 5.81%였다.
SR도 설 명절기간 열흘 동안 출발 당일에는 환불 시점에 따른 위약금 부과 기준을 평상시 대비 2배 강화해 △출발 3시간 전까지 5%→10% △출발 3시간 전~출발 시각 전까지 10%→20% △출발 후 20분까지 15%→ 30%로 강화했다. 이런 조치에도 직전 추석보다 노쇼 좌석 비중이 1.68% 감소하는 데 그쳤다.
노쇼 좌석 비중 감소율은 미미했지만 총 발행 매수 대비 반환매수 비중은 직전 추석 대비 가시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