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宇鎭기자」 세계 반도체경기가 회복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내년과 98년의 반도체경기 전망이 무척 밝다는 주장이 나왔다.
4일 세계경제연구원(이사장 司空壹)은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함께 서울 신라호텔에서 朴在潤통산산업부장관과 趙東成서울대교수, 그리고 미국 반도체업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세계 반도체시장의 발전전망과 한국반도체산업의 미래」에 관한 국제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토머스 암스트롱 미국 반도체협회(SIA)부회장은 『미국 반도체 산업의 경기회복이 이미 시작됐으며 반도체시장은 앞으로 수년간 높은 성장을 거듭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암스트롱 부회장은 또 『D램 시장은 내년에 7% 정도 성장할 것으로 보이지만 98년과 99년에는 두자릿수 성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올해 세계반도체 산업의 총 매출액은 1천3백억달러에 달하고 이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오는 2000년에는 2천억달러, 2010년에는 1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그는 이어 현재 미국과 일본 반도체산업간 협의에 따라 창설돼 운영중인 세계반도체위원회에 한국도 참여하기 바란다고 말하고 한국은 이를 위해 반도체에 부과되는 관세를 철폐하는 등 자유무역원칙을 준수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존 코넬 美CTE사장은 『앞으로 한국은 방대한 투자와 심한 가격경쟁을 수반하는 D램 대신 부가가치가 높은 집적회로(IC)를 전략생산품목으로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코넬사장은 『IC 가운데도 특별용도로 만들어진 표준제품 마이크로컴퓨터 기능 중심의 제품쪽으로 전략을 바꿔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한국업체들은 반도체 생산자체와 장비생산, 소프트웨어 공급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외국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추진해야 하며 아울러 적절한 기술정책과 자금지원 등 정부의 지원기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