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준기자] 대농그룹 지주회사격인 미도파에 대한 적대적 합병인수(M&A)를 시도했던 신동방그룹이 삼성 현대 LG 등 재벌들의 대농 편들기에 밀려 M&A를 포기, 부분적 경영참여로 물러선 것은 금후 국내의 M&A 움직임과 관련, 시사하는 바가 많다. 우선 대농과 신동방은 이번 공방 과정에서 심각한 자금출혈과 함께 기업이미지 추락 등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손실을 입었다.
▼문제점〓이번 미도파 경영권 다툼에 소요된 수천억원의 자금이 과연 어디에서 흘러 나왔는지가 의문이다. 항간에는 홍콩계 자본이 유입됐다는 소문을 비롯, 盧泰愚(노태우)전대통령의 비자금이 쓰였을 것이라는 설까지 나돌았으나 증권당국의 자금출처조사에는 한계가 있다.
증권감독원 관계자는 『외국인에 대한 자금출처조사의 경우 외국 증권당국과 협력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어 임의적인 서면조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하나는 지분확보 경쟁에 쓰인 돈이 대주주 개인자금이 아니라 회사돈이라는 것. 즉 대주주의 사익(私益)을 위해 회사돈을 쓴 것은 소주주들을 무시한 행위로 주총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대목으로 지적됐다. 이밖에 주식 위장분산문제, 전경련 개입의 타당성 등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전망〓전문가들은 지난번 한화종합금융에 이어 미도파 M&A 시도 역시 무산된 것에서 보듯이 국내에서의 적대적 M&A는 앞으로도 쉽지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더욱이 4월부터는 개정 증권거래법에 따라 기존 보유분을 포함, 발행주식 총수의 25% 이상을 취득하고자 하는 경우 공개매수를 통해 「50%+1주」까지 사들여야 한다. 새 증권거래법은 또 공동목적을 위해 합의 또는 계약에 의해 주식을 취득한 자의 주식소유현황까지 보고하도록 규정, 적대적 M&A는 더욱 어려워지게 됐다.
이에 따라 금후의 M&A시장은 합병인수를 통해 기업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우호적 M&A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