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및 금융권은 은행권의 협조융자를 통한 기업자금 지원책과 관련, 『정부가 시장경제 논리에서 탈피해 적극적으로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개입할 것이라는 기대를 불어넣어 줬다』고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경제주체 사이에 만연한 부도공포증이 다소 해소돼 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이란 분석. 그러나 협조융자의 대상 및 융자주체, 협조융자의 시한 등에 대해선 크게 개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뤘다.
A은행 임원은 『구태여 유예협약을 발동해 대외신인도를 떨어뜨리고 2금융권의 자금회수를 촉발하기보다 사전에 협조융자해 주는 게 바람직하다』고 이번 조치를 환영했다. 그러나 이 임원을 포함, S종금사장 등 대부분의 금융권 전문가들은 『협조융자가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제2,3금융권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단서를 달았다. 은행권이 신탁계정의 기업어음(CP) 회수 자제와 콜자금 지원 등을 통해 2금융권의 자금난을 덜어줘야 한다는 것.
협조융자의 대상선정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많았다. B은행간부는 △일시적 자금난에 한해 △자구의지가 있고 △담보를 가진 기업을 대상으로 융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현대경제사회연구원의 정순원(鄭淳元)상무는 은행이 경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부채를 지분으로 전환해 자연스럽게 채무기업의 경영에 참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백용즙(白龍楫)삼성투신운용사장은 『방만한 경영으로 위기에 빠진 기업을 국민 부담으로 금융권이 살려야 하느냐는 논란의 소지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런 이유에서 김태일(金泰日)전경련이사는 금리 인하나 구조조정 촉진책 등 기업회생책을 병행시킬 것을 주문했다.
신후식(申厚植)대우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현재 자금회전 속도가 늦어 당장 인플레 압력이 가중되지는 않겠지만 협조융자는 기업 구조조정을 늦추고 인플레 압력을 가중시키는 등 부작용도 낳을 것』이라면서 『한시적으로 운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영이·이강운·박래정·오윤섭·정경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