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본 중국과 동남아국가연합(ASEAN) 등이 참여하는 아시아판(版)G7 창설은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90년대 세계경제의 중요한 흐름인 경제블록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전략으로서도 불가피한 선택이기 때문이다. 또 지역그룹의 확대와 융합은 세계무역기구(WTO)로 상징되는 다자주의(多者主義)를 보완하면서 지구촌 단일경제권의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시아G7 창설의 당위성은 장황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우선 동아시아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는 역내(域內) 무역규모가 50%를 넘어서 유럽연합(EU)에 맞먹을 만큼 상호의존성이 커졌다. 통화연합을 추진하고 있는 EU의 역내 무역비중이 60%인 점을 감안하면 가장 역동적인 세계경제성장 거점인 아시아에서도 경제협력조정기구의 창설 필요성은 절실하다. 특히 태국의 바트화(貨) 폭락으로 야기된 아시아지역의 통화위기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뼈아픈 경험을 갖고 있다.
이제 아시아 각국도 외국 자본의 도입으로 경제성장과 안정을 추구하는 구태의연한 경제정책에서 벗어나 EU나 북미경제권에 대항할 수 있는 경제협력체를 창설할 필요가 있다. ASEAN이나 아태경제협력체(APEC) 어디에서도 어정쩡한 입장인 우리로서는 더욱 그렇다.
물론 아시아G7 창설에는 만만치 않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아시아에 대한 영향력 약화를 우려한 미국의 시각이 걸림돌이고 이해관계가 엇갈려 있는 각국간의 의견조율도 문제다. 그러나 서방 선진 7개국 모임인 G7의 세계 정치 경제 안보 등 주요 사안에 대한 영향력이 증대할수록 아시아의 자구노력은 그만큼 커져야 한다. 아시아G7 창설에 있어 한국은 마땅히 상응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