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차기대통령측이 해외의 거물급 금융전문가를 김차기대통령의 ‘경제고문’으로 위촉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3일 알려졌다.
최근 한국의 외환위기 해소책 등에 대해 자문하고 나아가 새 정부의 경제정책 프로그램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비중있는 국제전문가들을 영입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비상경제대책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아직 몇몇 인사를 접촉하는 검토단계”라며 “향후 정부정책의 홍보 차원에서도 국제적인 전문가그룹과 광범위한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구상은 이미 비대위에서 검토된 사안. 그러나 당장은 현안해결이 급하기 때문에 이들 국제전문가의 활용은 일단 새 정부 출범이후에 본격화할 전망이다.
김차기대통령측은 이들에게 대통령 경제고문이나 한국은행 등 정부기관의 고문을 맡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최소한 별도의 컨설턴트 용역을 맡기는 방식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인물은 폴 볼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장. 볼커 전의장은 카터와 레이건 행정부 시절 10년가량 FRB의장을 맡아 ‘뚝심있는 일처리’로 유명했던 금융전문가. 그는 옐친 러시아대통령, 리콴유(李光耀) 전싱가포르총리 등의 경제고문과 중국중앙은행의 자문역을 맡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말 포항제철 김만제(金滿堤)회장이 경제특사로 미국에 갔을 때 볼커 전의장과 접촉,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냈고 이를 김차기대통령에게 건의했다는 후문이다. 특히 볼커 전의장은 현재 포철의 자문회사 회장을 맡고 있어 한국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이밖에도 비대위측에서는 폴 크루그먼 MIT대 교수, 제프리 삭스 하버드대 국제경제연구소장 등도 거론되고 있다. 이들은 아시아의 ‘경제기적’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기술발전 등 과감한 혁신 없이는 가망이 없다는 지적을 해 온 세계적인 경제학자들.
이들은 국제금융계에 영향력을 갖고 있어 한국의 외환위기 타개를 위한 노력들과 향후 투자유치 계획 등을 국제사회에 홍보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철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