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금융위기와 관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신용평가기관들을 비난한데 이어 유럽 최고의 권위있는 신용평가회사는 한국의 신용등급 하향조정에 무리가 있었다고 시인하고 나섰다.
OECD 개발센터의 헬무트 라이젠 조사국장은 13일 신용평가기관들이 지난해 아시아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전에 이들 국가에 많은 자본이 흘러들어가도록 방치했으며 문제가 발생하자 해당국가의 신용등급을 떨어뜨림으로써 투자가들의 자본회수를 촉발시켜 사태를 더욱 악화시켰다고 비난했다.
라이젠 국장은 국제적인 투자가들은 신용평가기관이 발표한 신용도를 투자여부를 결정하는 지표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같은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식 신용 평가는 매우 우려되는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OECD 개발센터 소속 다른 전문가들도 아시아 금융위기 이전에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부정적인 평가등급을 발표함으로써 민간자본이 과도하게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문제점이 드러난 뒤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하는 식으로 대처해왔다”고 신용평가기관들을 비판했다.
한편 유럽의 신용평가회사인 피치 ICBA사는 이날 “우리는 분명히 잘못을 범했다”며 한국에 대한 신용등급 하향조정에 무리가 있었음을 최초로 시인했다.
피치 ICBA사는 ‘아시아 이후 위기의 교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그러나 한국과 같이 단기부채의 비중이 높으면 국가신인도에 중대한 취약점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전체 외채액이 적더라도 채무은행과 기업의 건전성에 관한 우려로 인해 국가 위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외채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피치 ICBA사는 한국에 대해 AA-의 높은 등급을 매겼으나 금융위기가 시작되자 즉각 위험도가 높은 등급인 B-로 낮췄다.
즉 스웨덴과 같은 높은 평가를 받아온 한국을 3개월만에 가장 신인도가 낮은 나라로 떨어뜨린 것이다.
〈파리·워싱턴AFP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