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차기대통령은 6일 낮 국회 귀빈식당에서 30대 기업대표들과 오찬간담회를 갖고 “재계개혁을 시행하는데 있어 정부는 결코 흐지부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재계의 구조조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차기대통령은 그러나 “재계개혁은 자발적으로 해야 하며, 이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강요하거나 불이익을 주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건전한 기업은 존경을 받으며 성공하고, 국민에게 해를 끼치는 기업은 도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노동자의 권익을 철저히 보호하면서 노동의 유연성도 확보하겠다”면서 “생산성 위주로 기업경영을 하듯 정부 스스로도 경제적으로 운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차기대통령과 30대 기업대표들은 △기업경영의 투명성제고 △상호지급보증의 해소 △재무구조의 획기적 개선 △핵심부문의 설정과 중소기업과의 협력관계 강화 △지배주주 및 경영진의 책임강화 등 5개항의 실천을 위해 노력키로 했다.
이 자리에서 비상경제대책위원회(비대위)는 경제개혁 가이드라인인 ‘기업구조조정 추진방안’을 전달, 기업 스스로 투명성제고와 지배구조의 개선에 노력해 줄 것을 요구했다. 비대위는 특히 기업자율조치로 지배주주의 사실상 기업지배관계를 단절하고 회장실 기조실 등 사실상의 지배조직을 정리할 것을 촉구했다.
또 기업의 경쟁력제고를 위해 중복된 사업의 자율적 교환을 추진하고 비주력사업의 중소기업 이양,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 및 자금지원 강화 등을 통해 수평적 협력관계를 구축해 달라고 요구했다.
비대위는 이와 함께 앞으로 은행의 금융지원시 대출심사를 엄격히 하는 등 강력한 여신정책을 통한 기업구조조정 추진의사를 밝히고 현행 금융관행도 대폭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30대 재벌그룹들은 이에 따라 주주총회를 열어 정관변경 등을 통해 △경영부실에 대한 경영진의 퇴진 등 책임강화 △사외이사 및 사외감사 선임 △소수주주의 권한강화 및 경영참여 기회의 확대 등을 제도화하기로 했다.
〈윤영찬·이철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