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이위원장은 17일 방영될 ‘KBS 정책진단’ 프로그램 녹화중 이같이 말하고 “은행들이 이미 거래기업의 부실화 정도에 대해 대부분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하고 있는 평가작업은 객관적이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 최종방침을 확정하는 과정에 불과하다”며 퇴출대상 부실기업의 윤곽이 잡혔음을 시사했다.
이위원장은 “은행별 판정위원회가 부실기업을 판정하는 것은 정상적인 경영여건에서도 생존할 수 없는 기업만을 골라내는데 그쳐 청산할 기업의 수는 많지 않을 것”이라며 “10∼12%의 금리 수준에서도 이익을 낼 수 없는 경우에만 부실기업으로 판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협조융자를 받고 있거나 부실징후를 보이고 있는 대기업들의 퇴출여부를 우선적으로 평가해 조기 퇴출시킬 예정”이라며 “이 경우에도 사업성이 좋은데도 금융시장 경색으로 일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은 제외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부실기업 판정여부를 놓고 금융기관간 협조가 어려울 것에 대비해 전체 금융기관이 참여하는 조정기구를 이달말까지 구성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위원장은 이미 부도가 난 한보철강 처리에 대해서는 “채권금융단이 당진제철소 부지와 설비 전체를 국제입찰을 통해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또 기아자동차에 대해서는 “대출금을 출자로 전환하거나 신주를 발행하고 국제입찰을 통해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일은행과 서울은행의 처리에 대해서는 “예정대로 민영화가 진척되면 9월중에는 외국금융기관을 상대로 한 입찰이 본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위원장은 “은행 구조조정 추진과정에서 예금인출사태 등 시장교란요인을 최대한 방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구조조정이 완료될 때까지는 예금자가 계속 보호될 것이지만 구조조정 완료 후에는 예금자와 주주가 자기책임 원칙에 따라 직접 손실을 분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상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