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협중앙회의 기능이 마비된 원인은 여러가지. 최근 제기된 외국인 산업연수생 사후관리업체 선정과 관련한 금품수수설이 박회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게 가장 큰 이유.
현재 부산지방경찰청에서 수사중인 이 사건은 박회장이 혐의를 극구 부인하고 있으나 아직 의혹이 완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다.
2월27일 벌어진 회장 선거 당시 절차 문제 등을 문제삼아 일부 이사장이 반발하고 있는 것도 박회장의 운신폭을 좁히고 있다. 당시 1차 투표에서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한 박회장은 다른 3명의 후보가 자진 사퇴하면서 결선 찬반 투표없이 곧바로 회장으로 추대됐다.
그러나 5월20일 조합내 이사장 13명이 서울 남부지원에 박회장의 당선무효 가처분 신청을 뒤늦게 제출하면서 문제가 새롭게 불거진 것. 이들 이사장은 당시 찬반 투표가 진행되지 않고 회장이 선출된 것은 무효라고 주장하는 등 몇 가지 이유를 내세워 박회장이 부적합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협중앙회는 이에 대해 “박회장이 조만간 그간의 사정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힐 예정이며 임원진 인선은 다음주중 마무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홍석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