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 빅딜〓현재 정치권 및 재계가 가장 유력하게 생각하는 사업교환 구도는 현대―삼성―LG그룹간 ‘삼각빅딜’. 당초 현대―삼성간 자동차와 반도체를 맞교환하는 ‘양자빅딜’이 거론됐지만 현대가 반도체 대신유화사업을 내놓겠다고 나서는 바람에 LG가 포함됐다는 설명이다.
여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빅딜의 핵심은 삼성의 자동차사업 포기”라며 “이에 따라 현대가 삼성차를 받고 유화를 LG에 내놓기로 했으나 LG가 아직 팔 사업을 확정하지 못해 최종 결정이 미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룹내 사정에 밝은 LG그룹 임원은 “설계기술이 취약한 반도체사업을 계속 끌고갈 수 없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밝혀 반도체가 매각후보 0순위임을 시사했다.
▼정치권이 의견 조정〓재계는 정부 및 정치권이 ‘시장경제’의 원칙을 유지하면서 인위적인 빅딜을 성사시키기 위해 법 테두리 내에서 다양한 압박수단을 동원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여권의 고위관계자는 “지난 5개월동안 청와대와 여당 고위인사간 주 논의대상이 빅딜을 포함한 기업구조조정이었다”며 “지방선거 후보등록 마감일 직전에도 여당 고위인사가 재계인사들을 만나 의견조율을 시도할 정도였다”고 털어놨다.
▼힘잃은 재계〓정치권과 함께 정부도 지속적으로 ‘부채비율 개선’과 ‘내부거래 차단’ 등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카드를 썼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공정위와 은행권이 재벌계열사간 부당 내부거래 및 편법 자금지원을 문제삼으면서 자생력이 없는 주력사를 둔 대그룹들이 위기의식을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엔 국세청과 사정당국이 최원석(崔元碩)전동아그룹회장 등 재벌총수 개인의 과거비리 등을 포착, 총수들을 직접 압박했다는 것이 정설.
▼향후 재계판도〓5대 그룹의 외형상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재계는 보고 있다. 타의반 자의반의 빅딜인 만큼 교환할 사업부문의 가치를 면밀히 평가, 자금지원이나 세제혜택 등을 통해 동가(同價)를 보장할 것이란 관측. 그러나 바로 이 점에서 빅딜이 막바지에 무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박래정기자〉ecopar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