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기업을 판정하는 은행권의 이견조정이 14일저녁 최종 마무리됐고 이헌재(李憲宰)금융감독위원장은 부실기업판정 리스트를 16일경 김대통령에게 보고한 뒤 18일 공개할 예정.
또 김대통령은 17일 최종현(崔鍾賢)전경련회장을 비롯한 경제6단체장들과의 면담을 갖고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협력을 부탁할 계획이며 19일 예정된 정부의 경제대책조정회의에서는 부실판정기업의 처리와 5대그룹의 빅딜문제를 본격 논의한다.
▼재계 살생부명단에 촉각〓18일 부실기업리스트가 발표되면 해당기업은 물론 전체 재계가 엄청난 충격을 받게 될 전망.
현재 예상되는 퇴출대상 기업은 40개 안팍으로 5대그룹 계열사도 상당수 포함돼 있다. 은행들이 부실판정 과정에서 기업측과 최종협의를 거쳤기 때문에 해당기업은 이미 살생부포함여부를 알고 있지만 외부의 파장을 우려, 극비에 부치고 있는 상태.
이에 따라 각 그룹들은 계열사가 부실기업으로 최종판정될 경우에 대비, 합병 매각 또는 사업철수 등 부실기업처리방안에 관한 시나리오를 점검하며 그룹차원에서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중이다.
그러나 온갖 소문이 난무하면서 일부 기업에선 납품업체들이 부실판정을 예상하고 납품을 꺼리고 있는가 하면 주요 소비재의 경우 소비자들이 계약을 취소하는 등 벌써부터 동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빅딜이 어떤 형대로든 구체화하게 되면 기업간 이해관계에 따라 각양각색의 반응과 함께 해당기업의 임직원이 크게 동요하고 대내외적인 기업활동에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다.
▼금융경색 불가피〓현재 은행권은 부실기업에 대해 신규대출과 대출금만기를 중단해 부실기업을 정리한다는 입장.
특히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모기업의 상호지급보증 채무에 대해서도 모기업이 다른 계열사를 팔아서라도 반드시 갚을 것을 요구하고 있어 자칫하면 그룹 전체의 자금확보가 문제될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부실기업에 대해 은행권이 채권확보에 나설 경우 해당기업의 하청업체나 거래기업 등도 외상대금 등 거액의 자금이 묶이게 됨에 따라 연쇄부실화의 우려가 높다.
이에 따라 이미 신용도가 높은 그룹들은 상당한 현금을 확보해둔 상태이며 나머지 기업들은 자금의 소요부분을 최소화하는 등 심각한 금융경색에 대비하고 싶어도 여의치 않아 고심하고 있다.
▼실업문제도 들먹〓부실기업 리스트가 발표되고 빅딜의 윤곽이 드러나면 태풍의 눈으로 떠오를 것이 고용문제.
대기업 고용인력을 평균 2천∼3천명만 잡아도 40개 기업이 부실판정을 받는다면 8만∼12만명 이상의 고용이 문제가 된다. 또 5대그룹간 빅딜이 진전되면 현재인력의 30%이상이 정리될 가능성이 높아 실업문제가 대두될 가능성이 높다.
〈이영이기자〉yes20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