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위는 자산부채이전(P&A) 방식으로 퇴출할 은행의 명단을 27∼30일중 전격발표하면서 즉각 금감위와 인수측 은행의 직원들을 피인수은행의 본 지점에 파견키로 했다.
피인수은행 직원들의 물리적 반발을 우려, 무장경찰이 인수팀에 합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피인수은행들에 투입되는 인원은 무장경찰을 포함해 1천여명에 이를 것이라고 한 관계자는 밝혔다.
이 관계자는 퇴출은행 직원들의 조직적인 반발로 인수작업에 결정적 차질이 빚어질 경우 검찰과 경찰이 공안차원에서 적극 개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금감위는 워룸(War Room·전쟁상황실)으로 불리는 상황실을 가동했으며 경찰과 인수은행들에 협조를 요청해놓은 상태다.
관계기관들은 P&A방식에 의한 은행퇴출 때는 고용승계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일부 퇴출은행 직원들이 반발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한편 국민 주택 신한 하나 등 인수측 은행들도 각각 퇴출대상 부실은행 인수팀을 구성했으며 한미은행도 퇴출대상 은행이 늘어날 것에 대비하고 있다. 금감위의 부실은행 처리방침 발표와 퇴출은행에 대한 인수팀 투입은 예금자 및 관련은행 직원들의 동요를 막기 위해 27∼30일중 은행영업시간이 끝난 뒤나 휴일을 기해 이루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팀은 우선 피인수은행의 현금 시재금을 접수하고 해당은행 거래계좌별 거래내용과 금액을 확인하게 된다. 4∼5일로 예상되는 이 기간 중에서 해당은행 전산시스템은 물론이고 은행 자체의 영업이 정지돼 고객들은 예금을 찾을 수 없다.
이와 관련, 금감위 관계자는 “예금자에게 돌아가는 불이익은 없다”며 “인수작업 기간중 돈을 찾기는 어렵지만 급하지 않은 돈이면 이자를 손해봐가며 미리 찾을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평인기자〉pis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