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열린 청와대와 전경련 회장단 회동은 그동안 있은 대통령과 재벌총수간의 모임과는 확연히 달랐다.
우선 청와대가 재계의 의견을 거의 모두 받아들였다는 점에서 다르다. 김우중(金宇中)전경련 회장직대와 손병두(孫炳斗)전경련부회장은 회동전 강봉균(康奉均)경제수석과 서너차례에 걸쳐 물밑 접촉을 갖고 구체적인 문안을 작성했다. 그리고 이 문안을 재벌 총수들에게 일일이 회람시켜 재계의 의견을 수렴했다. 전경련은 이것을 회동직전인 3일 청와대측에 전달했으며 청와대는 재계의 의견을 담은 이 문안의 내용을 합의문에 고스란히 담았다.
정부와 재계가 처음으로 의견을 같이한 명실상부한 합의문이 만들어진 셈.
청와대가 이처럼 재계의 입장을 존중하게 된 데는 무역수지흑자 5백억달러 달성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재벌들의 잇단 계열사 매각으로 재계에 대한 정부의 신뢰가 높아진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재계의 협조없이는 실업문제 해결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도 작용했다는 풀이. 재계는 김대통령이 “정부가 기업인의 신분 명예 자유로운 기업활동을 보장할 것”이라고 다짐한데 대해 크게 고무된 분위기다. 특히 이번 화합무드를 계기로 대기업과 총수들에 대한 사정차원의 조사가 다소 완화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희성기자〉leeh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