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총리는 이날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국민회의 박광태(朴光泰)의원이 원화와 엔화의 연동문제를 물은 데 대해 “이 문제는 일본경제가 차지하는 비중, 엔화의 국제화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하게 검토할 사안”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총리는 또 외채 문제와 관련해 “현재의 외채규모는 충분히 관리가능한 수준”이라며 “따라서 정부로서는 외채탕감 추진을 고려치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규성(李揆成)재정경제부장관도 “외채관리에 문제가 없으므로 아시아국가들과 채무국협의체를 구성하는 문제를 검토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장관은 “정부가 지난해말 국제통화기금(IMF)체제 위기가 왔을 때는 사태의 절박성을 고려해 민간외채에 대해 지급보증을 했지만 앞으로는 민간외채에 대해 지급보증을 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이날 대정부질문에서 국민회의와 자민련 등 여당의원들은 구(舊)정권의 환란(換亂)책임과 국세청 대선자금모금사건, 재벌기업구조조정 등에 관한 정부 입장과 대책을 따졌다. 한나라당의원들은 현 정부 경제정책의 혼선을 비판하고 ‘제2의 외환위기’ 가능성에 대한 대책을 추궁했다.
박정훈(朴正勳·국민회의)의원은 “정부의 주요 국책사업 등에서 천문학적인 수치의 국민의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며 “구정권으로부터 내려오는 주요 국가예산사업에 대한 전면적인 사정작업으로 관련 비리를 밝혀내라”고 촉구했다.
정의화(鄭義和·한나라당)의원은“실물 경기부양을 위해 금융소득종합과세 실시를 구태여 2000년까지 연기하기보다 내년으로 앞당길 용의가 없느냐”고 물었다.
한편 국회는 17일 이틀째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을 계속하며 18일 사회 문화분야를 끝으로 5일간의 대정부질문을 마감한다.
국회는 이어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가동해 총 85조7천9백억원규모의 내년도 예산안 심의에 들어간다.
〈문철·공종식기자〉fullmo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