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부산지역 경제단체들과 관련기관에 따르면 부산 지역 실업자가 작년 11월의 17만1천명에서 12월엔 17만8천여명으로 늘어나 실업률이 10.1%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실업률은 전국 16개 시도 중 가장 높은 것이다. 60년대 중반이후 실업률이 10%를 넘어선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와 여당도 21일 국정협의회를 갖고 이 문제를 논의하는등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본보 ‘이슈추적’팀이 현지실상을 긴급 취재했다.
한국노동연구원 선한승(宣翰承)박사는 “우리 나라처럼 사회복지체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못한 개발도상국에서 실업률 10%는 사회 안정을 크게 저해할 수 있는 한계선”이라고 말했다.실업률 뿐만이 아니다. 부산 경제 전체가 바닥 모를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하에서 경제난을 겪지 않는 지역이 없지만 부산 경제의 하락폭은 유달리 크다.
98년의 부산지역의 어음부도율은 1.29%. 전국 평균 0.38%보다 3.4배 높다. 전국 7대 도시 중에서도 가장 나쁘다. 제조업 정상조업률(98년11월 60.3%)을 비롯한 다른 경제지표도 바닥을 헤매고 있다. 예를 들어 어음부도율의 경우 97년에는 전국 평균에 비해 0.26% 포인트 높았으나 98년 11월엔 전국 평균과의 격차가 0.91%포인트로 커졌다.이처럼 악화돼 온 부산 경제에 지난달 발표된 ‘삼성자동차 빅딜’결정은 불난데 기름을 붓는 격이 됐다. 삼성자동차 공장은 48일째 조업이 중단된 상태고 유관업체를 합한 7만여 근로자들은 불안 속에서 하루하루를 지내고 있다.
삼성이 생산해 온 승용차 SM5가 계속 생산될 수 있을지 여부도 관심사가 돼 있다. 부산지역 62개 시민단체의 연합체인 ‘부산경제 가꾸기 시민연대’의 서세욱(徐世旭)사무총장의 말이다.
“부산은 99%의 기업이 영세한 규모다. 그나마 남아있던 대기업들은 이미 줄줄이 넘어졌다. 사양산업 위주였던 부산의 경제구조를 기술집약형으로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기회가 삼성자동차였다. 부산경제 회생의 등불이라고 여겼던 것들이 일거에 무너진다면 시민운동 차원에서라도 대처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많을 정도다.”
〈부산〓이기홍·박현진기자〉sechep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