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는 3일 “주가조작사건은 대개 주가가 최고치를 기록할 때 파는 것이 일반적이나 현대의 경우는 시세차익을 거두지는 않았다”며 “현대의 주장에도 일리가 있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번 사건의 처리에 경제문제도 생각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일선 검사들은 “청와대가 검찰 수사에 영향을 미치려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서울지검의 한 검사는 “이번 사건 처리에 경제문제를 고려해야 한다는 청와대의 발언은 현대측의 주장을 대변하는 것”이라며 “청와대가 피의자 입장을 대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이 사건을 수사중인 서울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이훈규·李勳圭)는 현대전자 주가조작의 직접적인 동기는 현대증권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현대증권은 주가 조작으로 1000억원의 미실현이득을 얻었다고 밝혔다.
검찰은 다음주초 현대증권 이회장을 소환해 사법처리할 방침이다.
〈최영묵·부형권기자〉mook@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