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금융권은 일단 “10일 이후 3개월간 대우채 환매규모가 대우 무보증채 18조9000억원 중 3조원 이하에 그칠 것”이라면서 조심스런 낙관론을 펼치고 있다.
또 대우채 환매에 대비해 채권시장 안정기금의 운용규모를 30조원까지 늘려 투신사 보유채권을 무제한 매입하기로 하는 등의 안전장치를 해놓았고 하이일드 펀드 등의 신규상품을 허용했기 때문에 투신권 유동성 문제는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KTB자산운용의 장인환(張寅煥)사장은 “대우채 편입비율이 15% 안팎인 투자자들은 찾아서 재투자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환매요청이 상당액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가 ㈜대우의 법정관리 가능성을 공식 언급하면서 해외채권단을 압박하자 해외채권단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게 현재 해외채권단의 창구역할을 맡고 있는 기업구조조정위원회의 전언.
위원회 관계자는 “당초 이달말까지 해외채권단이 입장을 정리할 계획이었지만 최근 정부의 법정관리 발언에 대해 금주중에 입장 표명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해외채권단이 대우 워크아웃을 거부할 경우 대우 주력사인 ㈜대우는 법정관리로 갈 수밖에 없고 이는 대우 워크아웃 전체에 차질을 빚을 수 있어 정부와 채권단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박현진·신치영기자〉witnes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