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重 발전설비 독점…현대-삼성과 빅딜 타결

  • 입력 1999년 11월 9일 18시 45분


현대 삼성 한국중공업 등 3사가 추진해온 발전설비 및 선박엔진 빅딜(대규모 사업교환)협상이 9일 타결돼 발전설비 분야의 ‘한중독점’ 체제가 재현될 전망이다.

빅딜 중재를 맡아온 전국경제인연합회측은 “박세용(朴世勇) 현대구조조정본부장, 이학수(李鶴洙) 삼성구조조정본부장, 윤영석(尹永錫) 한국중공업사장 등 3사 대표들은 이날 오전 서울 조선호텔에서 주요 쟁점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합의에 따르면 우선 현대중공업은 발전사업(권)과 발전설비 전용(專用)설비를, 삼성중공업은 발전사업(권)과 관련 자산 및 설비 일체를 한중에 넘기기로 했다.

현대가 이관하는 자산은 터빈제작용 전용설비 10여종이며 인수가격은 추후 결정할 방침. 현대 발전설비 분야의 토지 공장 인력은 현대그룹이 자체적으로 소화한다.

이날 합의로 96년 1월1일 시장개방에 맞서 복수경쟁 체제에 돌입했던 국내 발전설비 산업은 3년여만에 다시 한중 독점체제로 재편됐다.

한중과 삼성중공업은 또 각각 운영해온 선박용엔진 사업을 분리시켜 별도법인을 설립하고 사업권을 이 법인에 일원화하기로 했다.

이 통합법인 자본금은 200억원 규모로, 한중이 60% 정도의 지분을 갖게 되며 향후 5년동안 양사 설비를 임차하는 형식으로 사업을 운영할 방침이다.

3사는 발전설비 사업일원화에 따른 수익성을 보장하기 위해 삼성은 2000년 1월1일부터 10년간, 현대는 진행중인 발전설비 프로젝트가 완료된 시점에서 10년간 동일한 사업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현대가 현재 진행중인 발전설비 사업은 기술제휴선(웨스팅하우스)과의 계약을 감안, 한중으로 설비를 넘긴 뒤 재임대하는 형태로 완료할 예정이다.

이같은 3사간 빅딜안은 현대와 삼성중공업의 발전설비 선박엔진 부분을 일괄 한중에 인도하고 추후 한중 민영화시 양사가 지분 참여한다는 당초 구상과 크게 달라진 것이다.

손병두(孫炳斗)전경련 부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주식정산 등에 있어 특혜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이 높고 인력조정시 근로자들의 반발이 우려돼 당초 빅딜안에 대폭 수정이 가해졌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발전설비 빅딜 타결로 지난해 9월 발표했던 5대그룹간 7개업종 빅딜중 현대 삼성간 유화부문 빅딜을 제외하고 모두 매듭됐다.

〈박래정기자〉eco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