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각에서는 이와관련 급격한 경기 둔화를 막기위한 경기 연착륙에 서서히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00년 2·4분기(4월∼6월) 국내총생산(잠정)에 따르면 실질 국내 총생산은 지난해 동기 대비 9.6% 증가했지만 올해 1·4분기(1월∼3월)의 12.8%에 비해서는 성장세가 둔화됐다.
▽성장세는 지속=한은 이성태(李成泰)부총재보는 경기가 급격히 둔화되고 있는 징후는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며 아직 경기 정점에는 도달하지 않았으며 연내에도 경기정점에 도달할 것 같지는 않다 고 말했다.
이부총재보는 또 일각에서 우려하는 대로 올 하반기 급격한 경기둔화로 불황국면을 맞게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고 지적했다.
한편 2.4분기중 GDP 증가는 주로 수출과 설비투자 회복에 의해 주도되는 바람직한 모습을 보였으며 소비와 건설투자의 GDP 증가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과소비를 우려할 단계는 아니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경기 조정국면 진입 조짐=한은은 경제성장율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보다는 전기 대비 성장률을 볼 것을 주문하고 있다.
실제 계절변동 요인을 제거한 전분기 대비 계절변동조정 실질 GDP는 99년 1·4분기 3.1%, 2·4분기 4.1%, 3·4분기 3.3% 등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4·4분기(2.8%)에 증가세가 둔화된 이후 올해 1·4분기(1.8%)와 2·4분기(1.1%)에 더 낮아졌다.
한은 최춘신(崔春新)국민소득 통계팀장은 국내총생산(GDP) 순환변동치가 지난 98년 3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지만 2·4분기가 100.8로 전분기와 같게 나타나면서 조정양상을 보이고 있다 고 말했다.
LG경제연구원의 송태정(宋泰政)선임연구원은 조정기의 시작에 접한 것 같다 며 아직 성장률이 잠재 성장률보다 높은 것으로 보여 불황을 걱정할 단계는 아니며 수요 측면의 물가불안요인도 높지 않다 고 말했다.
▽경기 연착륙 준비할 때=2·4분기 경제성장률에서 전기 대비 계절변동조정지수가 당초 예상보다 낮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즉 1.4분기가 1.8%와 2.4분기가 1.1%로 연률로 계산하면 잠재성장률 5∼6%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한 관계자는 2.4분기만 봐서는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며 특히 설비투자 증가률이 가장 많이 줄어들었다는 점이 우려되며 급격한 경기하락을 막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할 때 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그렇다고 정부가 이 시점에서 경기하락을 막기위한 대책을 세우기 보다는 물가안정을 통해 경기변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 말했다.
한편 한은 최팀장은 4·4분기에 가서 전기 대비 성장률이 다소 높아질 가능성이 있어 본격적인 경기 둔화는 내년에나 가서 두고볼 일 이라고 말했다.
<박현진기자>witnes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