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방의 법정관리행으로 채권금융기관의 손실도 크게 불어날 전망이며 최근 어려움을 겪고있는 건설업계도 또 한차례 한파가 불 것에 대해 우려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채권단 제 목소리 냈다〓우방 처리와 관련해 채권단은 몇 차례 자금지원 중단 결의를 검토했었으나 우방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 정치적인 요인 등으로 퇴출 결정을 내리지 못했던 것이 사실. 그동안 워크아웃 기업의 채권은행단은 일부 워크아웃 기업의 경우 회생 가능성이 낮다는 판단을 내리고서도 기업부실이 곧바로 금융부실로 전가되는 것을 두려워해 부실 워크아웃 기업에 긴급 수혈을 계속해왔다. 그러나 최근 정부가 부실 워크아웃 기업 정리를 가속화할 것을 주문하면서 서서히 강경입장으로 돌아서게 된 것.
실제 채권단은 우방이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될 경우 우방에 빌려준 여신 1조 61억원에 대해 100%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하기 때문에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남에도 불구하고 우방의 퇴출 결정을 내렸다.
서울은행 관계자는 “비록 손실을 보더라도 회생 가능성이 없는 기업에 ‘밑 빠진 독에 물붓기’식으로 자금을 댈 수 없다는 것이 채권단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기업구조조정위원회 관계자는 “정부가 부실 워크아웃 기업을 정리하도록 채권은행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이고 있어 채권단 분위기도 바뀌고 있다”며 “앞으로 추가 자금지원 결정을 위해 열리는 다른 워크아웃 기업의 채권단협의회에서도 채권단이 강경 분위기로 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대구경제와 건설업계 또 한차례 한파〓시공능력 24위인 우방의 협력업체는 2500개로 대부분 대구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우방의 최종 부도는 대구 지역경제에 직격타를 날릴 것으로 예상된다. 우방이 현재 진행중인 공사도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현재 우방이 짓고 있는 아파트는 대구 경북 부산 수도권 등을 합쳐 모두 9500여 가구로 시공업체가 부도가 나면서 입주 예정자들도 큰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다.
건설업계 관계자도 “가뜩이나 어려운 건설업 현실에서 우방의 부도로 건설업계는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밝혔다.
<박현진기자>witnes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