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철은 단기간에 새로운 대주주가 나타나기는 어렵지만 국내외 기업의 공세적 지분 확대가 가능하다고 보고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지분 변동 전망〓이달말 포철의 해외 DR 발행이 끝나는 대로 1인당 지분 소유 한도(3%)와 외국인 지분 보유 한도(30%)가 풀릴 것이 확실해지면서 그 동안 철강업 진출을 노려왔던 국내 재벌들은 지분 확대를 위한 전략팀을 가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재벌들은 각기 법인 명의가 아닌 투자신탁회사나 연기금 등의 형태로 포철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지분 비중으로는 재벌들이 경영권을 노릴 만한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포철의 자기지분과 우리사주가 15.91%에 이르는데다 1% 내외의 지분을 각각 갖고 있는 연합철강과 신일본제철 등 우호 지분을 감안하면 특정 재벌이 이 정도의 지분을 확보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것.
그러나 삼성 현대 롯데 등은 오너 경영주의 지원에 힘입어 ‘알짜산업’인 철강에 강한 집착을 보이고 있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그동안 포철 내부에서는 경영권과 관련한 외국인 지분은 거의 없는 것으로 봤지만 정부가 손을 떼면서 외국인도 경영권 향방을 좌우할 변수로 등장했다.
포철 지분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41.86%. 업계 일부에서는 “해외투자가가 지분을 대폭 늘려 지배 주주로 등장할 경우 국민기업인 포철이 외국인 손에 넘어가게 돼 국민 정서상 반발도 예상된다”고 말했다.
▽포철의 방어태세〓누가 지배 주주가 되든 적대적인 경영권 침해는 막는다는 것이 포철의 입장.
포철은 투명경영과 전문경영인 체제 정착을 위해 ‘전환 우선주 발행제도’와 이사후보 추천위원회 등 각종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놓고 있다.
또 사외이사를 전체 이사의 과반수가 넘게 배치하고 사외이사 3명과 사내이사 1명이 이사후보추천위를 구성하는 제도도 신설해 적대 세력의 경영권 침해를 방지하도록 했다.
포철의 유병창 상무이사는 “주식 분산의 정도로 볼 때 대주주의 등장은 몇 달이 지나야 가시화될 것”이라며 “선진국형 소유지배 구조를 지향하는 기조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위용기자>viyonz@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