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정부와 채권단, 현대그룹에 따르면 정몽헌(鄭夢憲) 현대건설 이사회 회장은 현대건설의 새 사장 영입을 위해 최근 S씨, L씨 등 현대 부사장급 이상을 역임했던 3, 4명의 인사들과 접촉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퇴진이 대세’ 공감대 형성〓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현대건설의 경영혁신은 과거와의 단절을 통해서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현대건설이 유동성 위기에 빠졌을 당시부터 일관되게 현대측에 전달한 내용”이라고 말했다.
당초 김윤규 사장과 김재수 부사장 등 현 경영진은 이 같은 퇴진 요청에 강하게 반발했다.
이들은 현대건설 부실은 현대그룹 전체 경영과 연결지어야 한다며 자신들만이 퇴진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신용평가기관들도 전방위 압박〓현 경영진의 퇴진은 정부와 채권단뿐만 아니라 신용평가기관 등의 압박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신용평가기관 관계자는 “현대건설의 신용등급을 올리려면 몇 가지 필요한 요건들이 있다”면서 “현 경영진의 퇴진하고 참신한 경영진이 들어서는 것이 그중 하나”라고 밝혔다.
▼경영부실 책임 둘러싼 채권단과 경영진 주장▼
채권단 및 금감원 주장 | 쟁점 | 현 경영진 주장 |
경영부실이 진행된 시기에 경영을 맡은 김윤규 김재수씨에게 상당부분 책임이 있다. | 경영부실 책임소재 | 현대건설 부실은 현대그룹 전체와 연계해 판단해야 한다. 이익치 전회장 등에게도 근본적 책임 물어야. |
경영혁신은 과거와의 단절에서 출발해야 근원적 혁신이 가능하다. | 향후경영 개선방안 | 현안인 자구안 이행은 그동안 경영을 담당한 경영진에 의해 진행돼야 효율적이다. |
<김동원기자>davis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