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벤처클럽과 경남인터넷벤처협회가 작년 10월 출범한데 작년 12월에는 부산정보기술협회가 설립됐다.
이어 이달 16일에는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부산지부와 경남지부가 결성됐다. 부산벤처클럽은 인터넷기업협회와 업무제휴식을 가졌다.
▽지방 벤처산업의 현주소〓중소기업청에 따르면 18일 현재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벤처기업수는 752개. 서울의 5분의, 인천 경기의 3분의 1에 못미친다.
또 서울 벤처기업들이 정보통신(IT) 등 신경제 부문에 집중된 것과 달리 기계제조 등 전통산업부문의 비중이 크다.
이 지역 IT 벤처산업이 취약한 것은 사업환경이 열악하기 때문. 우선 시장규모가 작고 자본조달이 어렵다. 더 심각한 것은 인력난.
대형웍스(경남 창원)의 조용도사장은 “지방대학의 우수인력들이 대부분 수도권으로 취업을 하고 있다”면서 “사장이 대학을 직접 찾아 다니면서 교수와 학생들을 설득해야 어느정도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어렵사리 인재를 확보해도 얼마안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일이 빈번하다.
부산 한 IT기업은 서울의 대형 시스템통합(SI)업체와 공동프로젝트를 하고 나서 관련 기술인력의 절반을 그 SI업체에 빼앗겼다.
전자상거래업체들에게는 물류비도 큰 부담이다.
한빛정보통신(경남 창원) 김태일사장은 “서울에서 창원으로 화물을 보낼 때 6만원이 든다면 창원에서 서울로 똑같은 물건을 보낼 때는 12만원이 든다”고 설명했다. 운송업체가 ‘서울에서 내려올 때 공차로 와야한다’며 2배의 운송료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것.
▽부산 경남 벤처산업 발전을 위한 돌파구〓항만이 발달해 있고 지리적으로 일본과 가깝다는 이점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작년 한일정상회담에서 논의된 ‘부산―후쿠오카(福岡) 정보통신(IT)통로’ 구축사업이 최근 본격화돼 부산 경남지역 벤처기업들이 해외로 뻗어나갈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측 사업단이 28일경 부산을 방문, 한국 실무자들과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기업들만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 지역 벤처기업인들은 “수도권과 지방의 벤처기업 경영 환경에 엄청난 격차가 있는 상황이 개선되어야 한다”면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희망하고 있다.
한빛정보통신 김사장은 “지방에만 벤처기업 입주시설을 만들 것이 아니라 서울에 공동으로 쓸 수 있는 사무공간을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부산〓천광암기자>i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