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모리 요시로(森喜朗)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긴급경제대책본부’를 15일 설치키로 했다.
또 일본은행은 19일 열리는 정책위원회에서 초단기금리를 현행 0.15%에서 0%로 인하, 제로금리정책으로 복귀할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기업 활동이 개선되는 듯 하자 경기회복 시나리오를 구상했다. 그러나 최근 미국 경기 침체로 대미 수출이 줄면서 계획이 틀어지고 있다.
14일 발표된 일본의 1월 무역수지동향을 보면 수출은 2.9%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수입은 24.7% 늘었다. 흑자는 89.9% 감소해 648억엔에 불과했다. 경상흑자는 59.7%나 줄어들어 2496억엔으로 떨어졌으며 이는 97년 이후 최저치였다.
주가 하락세와 수출 둔화세가 이어지면서 일본 기업은 지난해 늘렸던 설비투자의 끈을 최근 다시 조이고 있다. 기업의 설비투자 선행지표인 기계수주 1∼3월 동향을 보면 2년 만에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기업이 인원감축을 단행하면서 1월 실업률은 4.9%로 최악의 상태를 기록했다. 소비 감소 영향으로 물가 또한 크게 떨어져 일본 정부는 ‘디플레이션’ 국면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금융시스템 불안도 경기악화를 부채질한다. 최근 주가폭락으로 16개 대형은행의 보유 주식평가액이 2조∼3조엔 줄어 이달말로 예정된 부실채권 처리는 더욱 늦어지게 됐다.
부실채권 처리가 늦어지면 기업구조조정도 지연될 수밖에 없어 경제 회복은 더욱 멀어지게 된다.
<도쿄〓이영이특파원>yes20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