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일 근무제가 도입되면 법정휴일은 매주 이틀씩 104일(52주), 법정공휴일 17일, 월차 휴가 12일, 연차휴가 10∼20일, 생리휴가 12일 등이다. 약정휴가를 제외하더라도 남성 근로자는 143∼153일, 여성 근로자는 155∼165일을 쉴 수 있는 셈이다.
한국이 주5일 근무제 도입시 각국 휴가 일수비교(단위:일) | ||||||||
구분 | 한국 | 미국 | 일본 | 영국 | 독일 | 프랑스 | 대만 | |
휴 일 종 류 | 주간휴일 | 104 | 104 | 104 | 104 | 104 | 104 | 78 |
법정공휴일 | 17 | 10 | 15 | 8 | 12 | 11 | 22 | |
월차휴가 | 12 | - | - | - | - | - | - | |
연차휴가 | 10∼20 | 단협사항 (약 4주) | 10∼20 | 단협사항 (20∼25) | 24 | 30 | 7∼30 | |
약정휴가 | 10 | - | - | - | - | - | - | |
생리휴가 | 12 | - | - | - | - | - | - | |
연간 계 | 남 153∼163 여 165∼175 | 142 | 129∼139 | 132∼137 | 140 | 145 | 107∼ 130 | |
(자료:대한상공회의소) |
또 약정휴가 기간은 노사협약이나 관행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지난해 노동부 조사결과 경조사 휴가 연평균 4일, 회사와 노조 창립일 각각 하루, 여름휴가 4일 등 약 10일로 나타났다. 선진국에서는 경조사 휴무를 본인의 연간 휴가에서 빼고 노조 창립일도 휴무일에 포함되지 않으며 여름휴가는 연차휴가로 사용하고 있어 ‘약정휴가’는 한국에만 있다는 것.
상의는 약정휴가를 그대로 두고 주 5일 근무제를 도입하면 한국은 세계에서 휴일수가 가장 많은 나라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상의는 주 5일 근무제를 도입하려면 약정휴가를 연차휴가 내에서 사용토록 하는 등 휴가관행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 지적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선진국의 3∼4분의 1인데 휴일이 더 많으면 산업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자룡기자>bonh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