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은 17일 ‘미국 테러사태로 인한 전쟁 시나리오별 영향과 대책’ 보고서에서 “미국의 보복이 국지전으로 조기에 수습되면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미약하겠지만 장기전으로 갈 경우 전체 수출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대미(對美) 수출이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이같이 예상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사태 장기화로 유가가 배럴당 평균 10달러 오르고 원-달러 환율이 5% 하락할 경우 올해 경상수지 흑자는 78억7000만달러로 당초 전망치(117억2000만달러)보다 38억5000만달러 줄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2%로 0.6%포인트 높아진다는 것. 경제성장률은 이달 초 한경연이 전망한 2.7%보다 1%포인트 낮은 1.7%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경연은 특히 해외 건설공사의 51%를 차지하는 중동지역의 건설 수주가 줄어들고 공사대금의 입금이 지연되는 사태도 우려된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이 같은 비상상황에서 경제의 활력을 유지하려면 현금수요가 급증할 것에 대비해 유동성 공급을 원활히 하고 조세감면과 재정지출 확대, 기업규제 개선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아프간공격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 |||
| 당초 전망
|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 |
경제성장률(%)
| 2.7
| 1.7
| |
경상수지 흑자(억달러)
| 117.2
| 78.7
| |
소비자물가상승률(%)
| 4.6
| 5.2
| |
※ 사태 악화로 유가가 배럴당 10달러 상승할 경우
|
<박원재기자>parkw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