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JOB]‘주5일근무’ 눈앞인데…

  • 입력 2002년 6월 20일 18시 35분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들이 주5일 근무제를 법으로 강제하는데 반대하면서 이 제도를 도입하려면 휴가제도 등을 함께 보완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20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기업위원회 회의에서 외국계 투자기업 경영자들은 “주5일 근무제는 법으로 강제할 것이 아니라 기업이 자율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하려면 불합리한 휴가제도를 개선하고, 초과근로에 대한 임금할증률을 국제수준에 맞춰 내리며, 탄력적 근로시간제도를 확충하는 등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근로자 파견에 대한 규제완화(파견 기간의 제한 철폐, 대상 업종의 확대) △정리해고 요건의 실질적 완화 △간접 노무비용의 절감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최근 일부 노조의 기업 이익에 대한 분배권 요구는 자본주의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매우 위험한 발상”이라면서 “만약 이러한 주장이 수용된다면 외국기업의 한국 투자는 더 이상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회의에는 전경련 국제기업위원장인 최준근 한국휴렛팩커드 사장과 디트리히 한쉬타인 한국바스프사장, 윤문석 한국오라클 사장 등 한국 진출 주요 외국계 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

한편 한국무역협회는 7월1일부터 은행들이 토요휴무에 들어감에 따라 수출업체들의 무역금융 대출이자 부담액이 연간 30억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무협은 이에 따라 7월 한달만이라도 토요일에 수출환어음 매입 업무를 계속해달라는 내용의 건의서를 20일 금융감독원과 은행연합회에 제출했다.

무협 측은 “은행들의 토요 휴무로 무역금융에 대한 추가이자가 발생하는 만큼 이를 받지 말거나 최소한 유예해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연수기자 ysshin@donga.com 김광현기자 kk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